'손을 씻다' | na kim | 2018-01-28 | |||
|
|||||
‘손을 씻다’
지난 25일
JTBC 뉴스룸에서는 재미있는 장면 하나를 마지막 부분에 방송했습니다. 국립 현충원
광장에서 국군 기무사령부 주관으로 ‘군의 정치적 중립준수 다짐 선포식’을 한 것입니다. 한국에서 군복무를
마친 남성이라면 ‘기무사’라는 이름이 얼마나 무서운 지 다 압니다. 그야말로 별도 따고 달도 따는 부대입니다.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한 이석구 기무사령관을 필두로 별들을 주렁주렁 어깨에 매단 장성들이 먼저 ‘세심수’(洗心水)라고 써 붙인
투명한 아크릴 세수대 야에 담긴 물에 차례로 손을 씻었습니다. 물 이름을 ‘세심수’(洗心水) 즉,
’마음을 씻는 물’이라고 지은 것을 보면 씻고자 했던 것은 손이 아닌 마음인 것 같습니다. 행사의 이름을 ‘군의 정치적 중립 준수 다짐 선포식’이라고 한 것은 그들이 정치적인 중립을 지키지 못했던 과거의 잘못을 반성하고
다시는 그렇게 하지 않겠다는 다짐을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손이 아닌 그들의 과거를 씻은 것이지요.
손석희 앵커가 마지막으로 이런 말을 했습니다. “.... 각오를 보여준 것 같은데 각오대로 잘되기를 바라겠습니다.”
한국이
군부의 독재로부터 벗어난 후 벌써 6번째 대통령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바로 지난 정권까지 국군 기무사령부는 민간인을 사찰하고 국회정치에 개입하며 심지어 대통령
선거에까지 영향을 미쳤던 일들이 드러났습니다. 군인들이 우리나라를 통치하던 시절에 ‘보안사’(국군 보안 사령부)는 중앙정보부와 더불어 그들의 권력을 지키고 행사하는 손과 발이었습니다.
민간 정부가 들어선 후에도 그 권력은 여전했습니다. 1992년 윤석양이라는 한 군인이
보안사의 민간인 사찰에 대한 양심선언을 했고, 이름을 ‘기무사’로 바꾸었습니다. 하지만 이름을 바꾼다고 그들의 본질이 바뀐 것은 아니었나 봅니다. 불과 1-2년 전까지도 그들은 권력 가까이에서 군대가 아닌 국가를 움직이고 있었습니다. 신임기무사령관은
과거 그들의 정치적인 행적을 일부 소수가 한 일로, 혹은 지금은 상관이 없는 일로 하고 싶었던 모양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육사출신의 대통령들이 수십 년 한국 사회를 지배했고, 그들의 후배들이
하나회라는 이름으로 권력을 이어갔으며, 최근까지 독사파(독일유학파)라는 이름으로 군사 권력을 독점하고 정치권력에 영향을 미쳐왔던 군인들을 알고 있습니다. 지난
10여년 한국 군대가 사들인 이해할 수 없는 군장비들은 모두 그들의 작품입니다. 그들의 후배들이 여전히 어깨에 산보다 무거운 별을 달고서 새로운 정권 앞에 손을 씻는 의식을 행했습니다. 별은 지켜야겠고, 권력은 잃기 싫고, 과거로부터는 자유로와야겠기에
그들은 국민들이 보는 앞에서 손을 씻었습니다. 기록적인 한파가 몰아치는 가운데 김을 펄펄 날리면서 손을 닦는
그들의 모습이 안스러워보였습니다. 저 역시 그들이 각오대로 잘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우리는
손을 씻었던 또 한 사람을 압니다. 로마가 파송한 유대의
총독 빌라도입니다. 그는 예수를 심문하고 무죄임을 거듭 확증합니다. 하지만 유대인들의 조직적인 저항을 만납니다. 유대인들은 예수가 로마에 반대한다는 누명을 씌우고
만일 그를 방면하면 총독 빌라도를 로마의 황제에게 고소하겠다고 말합니다. 유대 지도자들이 예수를 제거하기
위해 로마의 황제에 대한 충성을 맹세합니다. 빌라도는 그들의 간교한 생각을 알고 있었지만 문제를 크게 만들고
싶지는 않았습니다. 그는 ‘십자가!’를 소리치는 군중들 앞에서 손을
씻습니다. 이 결정에 대해 자신은 무죄함을 밝히고 싶었습니다. 이 결정에
대한 모든 책임은 너희들이 지라는 것입니다. 판결의 모든 권위가 자신에게 있고, 자신은 예수의 무죄를 확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대인들의 판단에 예수를 맡기고 책임을 회피하고자 하는 간교한 결정을 하는 것입니다.
그가 손을 씻습니다. 죄책감을 씻습니다. 내
잘못을 씻어버리고 마음에 자유를 얻습니다.
가끔 그런 생각을 합니다. 우리가 예배하는 것은 빌라도가 손을 씻는 것과 무엇이 다를까요? 어깨에 무거운 별들을 단 장성들이 흰 김을 펄펄 날리며 손을 씻는 것과 무엇이 다를까요? 일주일에 한번 예배로 모여서 지난 일주일의 삶을 반성하고 회개하고 하나님이 허락하신 물에 우리의 손과 입과 마음을 씻고 다시 가벼운 마음으로 세상으로 돌아가는 것 아닙니까? 그거라도 있어야 한다고 말씀하시면 할 말은 없습니다. 하지만 예배의 본질은 그것이 아니지 않습니까? 빌라도가 손을 씻는다고 죄를 씻을 수 있는 것 아니고, 별들이 손을 씻는다고 그들의 과거의 행적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면 우리가 예배를 통해서 잠시 마음을 씻는다고 우리의 할 일이 끝나는 것은 아니지 않겠습니까? 빌라도는 손을 씻기전에 다른 결정을 했어야 했고, 기무사의 별들은 이제 정말 그들의 다짐과 각오대로 그들의 마음과 결정을 변화시켜야 합니다. 예배하는 우리들은 ‘예배했다’는 자기만족과 위로가 아닌 우리의 마음과 삶이 변화해야 합니다. 씻는 것이 핵심이 아니라 변화가 핵심입니다. 예배는 우리의 변화를 확인하고 제물로 드리는 과정입니다. 변화입니다. 변화, 의식이 아닌 본질입니다.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