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교적 교회 - 29.성도 보통씨의 숲 | na kim | 2018-07-23 | |||
|
|||||
|
* 본 문 : 요한복음 8장 1-11절 말씀 * 제 목 : 선교적 교회 - 29. 성도 보통씨의 숲 창세기 9장 18-29절은 어려서 성경을 읽던 제게 가장 어려운 내용 중 하나였습니다. 누가 그런 말을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19절에 “노아의 이 세 아들로 좇아 백성이 온
땅에 퍼지니라”라는 말씀을 그들이 백인, 흑인, 황인의 조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노아에게서 저주를 받은 함의 후손은 흑인이 되고, 가장 큰 복을 받은 셈의 후손은 이스라엘 백성이 되고, 야벳의 후손은 백인이 되었다고 생각했습니다. 아시안은 어떻게 되었느냐고 물었더니 셈의 후손의 계열이라고 들었습니다. 오랫동안 이렇게 생각했었습니다. 근본주의적 미국 신학, 혹은 백인 신학을 하는 사람들 중에서 여전히 이런 주장을 하기도 합니다. 근거 없는, 백인 우월주의에 사로잡힌 주장이면서 흑인노예화를 정당화하는 논리에 불과합니다.
Genesis
9: 18-29 was one of the hardest things to read in the Bible in my childhood. I
do not know who said it, but in v. 19, " These were the three sons of Noah, and from
them came the people who were scattered over the whole earth." They
thought that they were the ancestors of white, black, and yellow men. The
descendants of Ham, who had been cursed by Noah, became black, and the most
blessed descendants of Shem thought to be the Israelites and the descendants of
Japheth to be white. I asked what happened to the Asian and I heard that they
were the descendant of Shem's descendants. I've been thinking this for a long
time. This is still the belief among fundamentalist American theologians, or
those who are white theologians. It is their logic to justify black
enslavement, an unfounded, white supremacist claim. 이런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어린 제 마음에 들었던 생각이 있습니다. 노아는 왜 그런 실수를 해서 아들 중 하나에게 저주를 하고 그 자손들을 흑인으로
만들고 심지어 노예로 살게 했을까? 하나님께서 분명 의인이라고 성경에 기록하신 노아는 정말 의인인가...? 어린 제 마음에 누군가 잘못된 가설 하나를 넣어줬고, 저는 꽤 이 문제로 고민한 것 같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함의 후손이 흑인이건 아니건 어쨌든 아버지의 저주를 받은 것은 분명합니다. 아들을 이렇게 저주할 수밖에 없도록 자신의 수치를 드러내는 실수를 한 노아는
의인인가요? 의인이라면 어떻게 이런 일을 할 수 있을까요?
Every
time I hear this story, I have had a thought. Why did Noah make such a mistake,
curse one of his sons, make his descendants black, and even live as slaves? Is
Noah really a righteous man who God has written in the Bible that he is clearly
the righteous? Someone put a wrong hypothesis in my young mind, and I think I
was quite concerned with this problem. What do you think? It is clear that
Ham's descendants, whether black or not, have been cursed by their father
anyway. Is Noah a righteous man who made a mistake revealing his shame to curse
his son like this? How can he do this if he is a righteous man? 그런데 그런 의문이 드는 사람이 실은 노아만이 아닙니다. 다윗은 의인일까요? 베드로는 믿을만한 사도인가요? 자신의 스승이자 은인인 바나바와 다투고 헤어지는 바울은 어떻습니까? 우리가 몇 주 전에 말씀을 나눈 기드온은 이스라엘을 구원하는 영웅인가요? 우상 숭배의 죄악으로 인도하는 괴물인가요? 모세는 40세에 과연 자신의 영광이 아닌 민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애굽인을 죽였을까요? 80세에 이스라엘의 지도자가 된 모세는 왜 잠시 그 급한 성품을 참지 못해서
결국 가나안에 들어가지 못하게 되었을까요? 믿음으로 모든 고난을 잘 참아내던 요셉은 왜 술 맡은 관원에게 자신을 구해달라고 부탁을 할까요? 삼손은 사사가 맞나요? 생각해 보면 성경에서 소개하는 하나님의 사람들이 보여주는 삶의 단면들이 때로
초라하고 부끄럽기도 합니다. 성경은 왜 그들의 부끄러운 모습들을 숨기거나 포장하지 않고 그대로 묘사하고 있을까요?
Noah is
not the only one who is questionable. Is David righteous? Is Peter a reliable
apostle? How about Paul, who quarrels with Barnabas, his master and benefactor,
and breaks up? Is Gideon, who we talked about him a few weeks ago, a hero to
save Israel? Is he a monster that leads to the sin of idolatry? Did Moses at the
age of 40 kill the Egyptians because he loves his people and not for his own
glory? Why did Moses, who became the leader of Israel at the age of 80, could
not bear his character for a moment and he could not enter Canaan? Why would
Joseph, who endured all suffering with faith, ask the ruler to rescue him? Is
Samson correct? As you think, the aspects of life that God's people show in the
Bible are sometimes shabby and embarrassing. Why does the Bible portray their
shameful things without hiding or wrapping them?
1. 엠블러의 숲 저는 올해로 엠블러라는 타운에서 살기 시작한 지 15년이 지났습니다. 엠블러는 무엇보다 집 가까운 곳에 작은 공원과 숲들이 많아서 좋습니다. 제가 자주 가는 작은 공원이 두 곳 있습니다. 하나는 지금 저희 집 뒤쪽에 있는 Robin's Park입니다. Temple 대학교에서 조성하고 학습용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작지만 숲길들을 예쁘게 만들어놨습니다. 시간이 될 때마다 자주 그 공원에 갑니다. 또 하나는 Wissahickon Valley라고 불리는, Morris Road를 타고 흐르는 시냇물과 함께 조성된 공원이 있습니다. 그곳은 아마 아무 손을 대지 않은 듯... 자연스럽고 예쁩니다. 엠블러로 이사 온 다음해, 어느 봄날... 저는 가일이를 목마를 태우고 그 공원들에 갔었습니다. 무르익은 봄의 터질 것 같은 생명력과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연두색과 초록색이
교차하는 나뭇잎들이 너무 아름다워서 잘 알아듣지도 못하는 가일이에게 이런 저런 설명을 하면서 숲길을 걸었습니다.
It's been
15 years since I started living in the town of Ambler. I think this town
because there are a small parks and forest near the house. There are two small
parks that I frequent visit. One is Robin's Park right behind our house. It is
being used at the Temple University for the purpose of learning. It is small,
but they made the forest roads beautiful. I often go to the park whenever I
have time. Another is the park, which is called the Wissahickon Valley. It has stream running through Morris Road. It
seems that no one touched it... It is natural and beautiful. One year after we
moved there, one spring day ... I went to the parks with my son. The leaves and
green in the background of the spring and the blue sky are very beautiful. So I walked in the forest by explaining to my
son who does not understand well.
그리고 그날, 저의 이민생활을 상징하는 한 사건이 생겼습니다. 집에 왔는데 이상하게 자꾸 재채기가 나고 눈이 가려웠습니다. 처음에는 눈에 뭐가 들어갔나... 코에 뭐가 있나 하고 생각했습니다. 1주일이 가고 2주일이 지나면서 깨달았습니다. 아... 알러지...!!!
And
that day, there was an incident that symbolized my immigrant life. I came home,
strangely I was sneezing and my eyes were itchy. At first, I thought that something went into
my eyes... I thought something went into my nose. One week went by and two weeks
later I realized. Oh ... allergies ... !!!
숲은 정말 아름답고 좋았습니다. 그런데 저는 그 숲에서 알러지를 시작했습니다. 저의 알러지가 얼마나 심한지 잘 아시지 않습니까? 그렇다고 해서 제가 그 숲에 간 것을 후회하는 것은 아닙니다. 여전히 숲은 아름답지만 알러지는 정말 고통스럽습니다.
The
forest was so beautiful and good. But I started allergies in that forest. Do
you know how severe my allergies are? That does not mean I regret going to the
forest. The forest is still beautiful, but the allergy is really painful.
2. 디테일, 그리고 거리 지난 주 저는 여러분들에게 ‘성도 보통씨의 디테일’이라는 제목의 설교를 했습니다. 가까이 보고 오래 보아야 아름답고 예쁘다는 시도 함께 읽었습니다. 그렇게 되면 좋겠습니다. 그런데 여러분, 누군가가 나를 가까이 보고, 오래 보고 있으면... 좋으십니까? 불안하십니까? 누군가가 나의 디테일을 살피고 점검하면 괜찮으시겠습니까?
Last
week I gave you a sermon and I read a poem that in order to see a beauty, one
must look close and long. I hope so. But, if someone is looking at me closely
and watching for a long time ... is it good? Are you insecure? Would you mind
if somebody checked my details and checked them?
시편 103편 8-14절까지의 말씀에 제가 던진 질문에 대한 답이 있습니다.
There
is an answer to my question in Psalm 103: 8-14.
The Lord is compassionate and gracious, 13 As a father has compassion on his children,
이 시에서 표현된 하나님이 있고, 시인의 삶이 있습니다. 먼저 시인은 어떤 사람입니까? 그는 하나님이 노하실만한 삶을 사는 사람입니다. 책망 받을 만합니다. 죄가 많습니다. 그 죄를 따라 하나님이 갚으신다면 감당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불쌍합니다. 흙과 먼지처럼 가치 없습니다. 이 시를 보니까.... 시인은 꼭 우리들 같습니다. 자세히 보면 안됩니다.
There
is God expressed in this poem, and there is poet’s life. What kind of person is
poet? He is a
person who lives a life that God can be angry with. He is worth reprimanding.
There is a lot of sin. If God repays the sin, he can not afford it. He is not even
worth dirt and dust. The poet is like us. Do not
look closely.
반면 그런 시인을 만나주시는 하나님은 어떤 분이십니까? 자비와 은혜가 있습니다. 인자하십니다. 오래 참으십니다. 진노를 오래 품지 않습니다. 이 땅에서 하늘이 높은 것처럼 영광스러운 분이십니다. 사람의 죄와 수치를 동쪽과 서쪽이 먼 것같이 멀리하십니다. 우리를 불쌍히 여기십니다. 우리의 연약함과 본성을 잘 아시고 이해하십니다. 자, 그래서 이 시에서 하나님은 시인의 삶을 자세하고 세밀하게 지켜보시고 평가하시고 판단하시는 분입니까? 아니면 우리의 수치와 더러움에 대해 필요하고 적당한 거리를 만들고 덮어주시는
분입니까? 하나님은 “동이 서에서 먼 것 같이 우리 죄과를 우리에게서 멀리 옮기시는 분”이십니다. 어떻게 말입니까?
On the
other hand, who is God who meets such a poet? There is mercy and grace. He is
patient. He does not have long wrath. It is glorious as the heavens are high in
the earth. The sins and shame of men are as far from the east and the west. He
has pity on us. He understands our weakness and nature. So, is it in this poem
that God watches and evaluates and judges the life of the poet in detail? Or
are you making and covering the necessary and appropriate distance for our
shame and dirt? God is "one who moves our sin far from us, as the east is
far from the west." How do he do that?
“내 영혼아 여호와를 송축하며 그 모든
은택을 잊지말찌어다 저가 네 모든 죄악을 사하시며 네 모든 병을 고치시며 네 생명을 파멸에서 구속하시고 인자와 긍휼로 관을 씌우시며 좋은 것으로 네 소원을 만족케 하사 네 청춘으로 독수리 같이 새롭게 하시는도다“(시 103:2-5)
Praise the Lord, my soul,
이 시에 의하면 시인의 삶은 부끄럽고 한심합니까? 자랑스럽고 영광스럽습니까? 시인이 혼자 있을 때... 죄인이고 부끄럽고
불쌍하고 흙과 같은 존재입니다. 그런데 시인이 하나님과 함께 있을 때... “좋은 것으로 네 소원을 만족하게 하사 네 청춘으로 독수리 같이 새롭게 하시는도다”라고 고백합니다. 하나님과 함께 있을 때 시인은 자랑스럽고 영광스러운 사람이 됩니다. 왜 그렇습니까? 하나님께서 시인에게 ‘하나님의 인자와 긍휼의 관’을 씌워주시기 때문입니다.하나님은 사람의 감사와 찬송을 받으시고, 사람은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습니다. 그의 삶은 날마다 청춘 같고 날마다 새롭습니다. 자신은 작고 낮고 부끄럽고 못났지만 하나님은 영광의 관을 사람에게 씌우셔서
날마다 새롭게 높은 하늘을 날게 하십니다.
According
to this poem, is poet life ashamed and disgusted? Is he proud and glorious?
When a poet is alone ... He is sinful, shameful, pitiful. But when the poet is
with God ... "I pleased your wish with a good thing, and you are renewing
like an eagle with your youth." When we are with God, the poet becomes a
proud and glorious man. Why? Because God gives the poet a "Pavilion of
God's kindness and compassion." God receives man's thanksgiving and
praise, and man is saved through God's grace. His life is like youth every day
and new every day. Though he is small, low, shy, and unworthy, God puts a coin
of glory on man and makes him fly new high heavenly day by day.
3. 나무를 들여다보다. 오늘 본문에서 우리는 아주 당황스러운 한 사건을 만납니다. 간음을 하다가 현장에서 잡힌 여인이 예수님 앞에 있습니다.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이 이 여인을 붙들어서 데려온 목적은 분명합니다. 사람들로 하여금 이 여인을 심판하게 하고, 예수님을 모함하고자 하는 겁니다. 예수님이 이 여인을 변호하면 율법을 어기는 사람으로, 예수님이 이 여인에게 함께 돌을 던지면 사랑과 긍휼이 없는 사람으로 몰아갈
겁니다. 이 여인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In
today's text, we meet very embarrassing event. A woman caught in the scene
while committing adultery is in front of Jesus. The purpose of the Pharisees
and scribes was to bring this woman away. They want people to judge this woman
and to frame Jesus. If Jesus defends this woman, she will break the law, and if
Jesus throws her stone to this woman, she will be driven to a man without love
and mercy. What should happen with this woman? 이런 일은 예수님의 사역의 현장에서 종종 있었습니다. 요한복음 9장에 예수님은 나면서부터 소경이 된 사람을 만납니다. 제자들이 묻습니다.
"선생님, 이 사람이 눈먼 사람으로 태어난 것이, 누구의 죄 때문입니까? 이 사람의 죄입니까?부모의 죄입니까?" 예수님이 두로와 시돈으로 가실 때 귀신들린 딸 때문에 스스로 개가 되어도 좋다고 고백했던 여인, 예수님이 쓰다듬어주시기를 바라고 자신의 아이들을 예수님 앞으로 데리고 오는
부 모들... 이들은 모두가 다 사실 비슷한 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세히 보면 예쁠까요? 알고 보니 아름다울까요? 그들의 일상과 삶의 조건들을 가까이 들여다보니 정말 사랑스럽고 가치 있을까요? 안타깝게도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그들은 무시당하고 멸시당합니다. 사람들이 그들 가까이에서 그들을 판단합니다. 그들은 죄인이요, 가치 없는 삶을 살고 있습니다. 자세히 보니까 더 그렇습니다.
This
was often the scene of Jesus' ministry. In John 9, Jesus meets a man who has
been blind since birth. The disciples ask. "Teacher, who is this man born
to be a blind man, because of his sins? This man's sin? When Jesus went to Tire
and Sidon, the woman who confessed that she could become a dog because of her
demonized daughter, the mother who brought her children to Jesus in hopes that
Jesus would patronize ... All of them have a similar aspect in fact. Would it
look pretty if you look closely? Is it beautiful to know? Is it really lovely
and valuable to look closely at their daily life and living conditions?
Unfortunately, this is unlikely. They are ignored and despised. People judge
near them. They are sinners, living worthless lives. It’s even more true when
they are observed more closely.
그런데 오늘 본문에서 예수님은 간음하다가 현장에서 잡힌 여인을 수치스럽게 만들지 않습니다. 예수님이 죄를 몰라서, 악을 보지 않아서가 아닙니다. 사람들은 여인을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자세히 보고 있습니다. 그녀의 수치를 드러내고 세상에 떠듭니다. 율법에 대해서 말합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침묵하십니다. 조용히 말씀하시고 바닥에 쓰셨다고 했습니다.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돌로 치라!” 그 현장에서 돌을 들 수 있는 유일한 한 사람인 예수님께서 한 걸음 그 여인의
더러운 죄로부터 오히려 물러나십니다. 그리고 사람들을 예수님만큼 물리십니다. 사람들은 손에 든 돌을 내려놓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쏟아놓은 말들이 결국 자신들의 것임을 알고 돌아갑니다. 예수님이 그녀에게 말씀하십니다.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않겠다. 돌아가서 다시는 스스로 수치스러운 삶을 살지 말라”
In
today's text, however, Jesus does not humiliate a woman caught in the scene
while committing adultery. Not because Jesus did not know sin, and did not see
evil. People look at the woman very closely and make her shameful and talks
about the law. But Jesus is silent. Instead,
he writes on the floor. “If any of you
did not sin then you can pick up the stone.” The
only one who can lift stones at the scene, Jesus, steps away from the filthy
sin of the woman one step at a time. People have no choice but to put down
stones in their hands. They return knowing that the words they poured are
theirs in the end. Jesus speaks to her.
4. 하나님이 씌워주신
관 다른 모든 장면에서도 그렇습니다. 사람들은 다른 사람을 자세하게 들여다보고 판단하고 손가락질합니다. 하나님이 허락하신 가치를 무시합니다. 존엄을 짓밟습니다. 왜 그렇습니까? 가까이 보니까 그렇습니다. 현미경을 대고 다른 사람의 부족함을 보기 때문입니다. 쉽게 분석합니다. 날카롭게 비판합니다. 아프게 비난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렇게 하지 않으셨습니다. 하나님의 긍휼하심과 자비하심으로 관을 씌우십니다. 죄와 수치를 덮으신다는 뜻입니다. 가려주십니다. 상한 갈대를 꺾지 않으십니다. 가까이 들여다볼 줄 몰라서가 아니라... 자세하게 몰라서가 아니라.... 평가하고 판단할
줄 몰라서가 아니라.... 그렇게 할 수 있는 권리와 자격이 없어서가 아니라.... 예수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시기 때문입니다. 불쌍히 여기시기 때문입니다. 그 여인의 죄에 대하여 유대인들보다 더 자세히, 분명히, 많이 알고 계시지만.... 그들보다 멀리 서서 그녀를 보십니다. “내가 너를 수치스럽게 하지 않을테니 너도 스스로 부끄럽지 않은 삶을 선택하라!” 시편 103편의 시인이 말한 것처럼 그녀의 생명을 파멸에서 구속하시고 인자와 긍휼로
관을 씌워주셨습니다. 그녀는 독수리처럼 새로운 삶으로 비상할 수 있는 힘을 얻었습니다.
This is
true of all other scenes. People look at others in detail, judge and points
them out. They ignore the God’s values. They crushed dignity. Why? It is
because they see each other in microscope and only looks their faults. Easily analysis them. Give sharp criticism. The
blame painfully. But Jesus did not. God has mercy and give grace on us. It
means to cover sin and shame. He will not break the injured reed. Not because he
does not know how to look closely ... but because we do not know in detail ...
but because we do not know how to evaluate and judge ... not because he does
not have the right and the right to do it .... It’s because Jesus loves us. He
is compassionate. He knows more about the sin of the woman than the Jews…He
stands farther from them and sees her. "I choose not to be ashamed of you,
for I will not be ashamed of you!" As the poet of Psalm 103 said, she
redeemed her life from destruction, She got the power to make a new life like
an eagle.
어... 지난 주에는 자세히, 가까이 보자...고 하더니 이번
주에는 멀리 띄엄띄엄보자고...? 혼란스러우십니까? 정리를 하면 이렇습니다. 우리는 두 가지를 같이 해야 합니다. 무엇에 대해 세밀하고 가까이 봐야 할까요? 하나님께서 주신 것에 대해서는 가까이 봅시다. 한 그루, 한그루... 풀 한포기... 자세하게 들여다봅시다.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 내게, 다른 성도에게 주신 아름다운 가치와 의미, 성도와 교회를 향한 하나님의 계획, 다른 성도들의 신앙의 열정과 섬기려는 마음... 이런 것들에 대해서는 우리도 섬세하게 느끼고 깊이 생각하고 자세하게 바라봅시다.
Uh ...
last week, I told you to look closer, and this week I am telling you to look
other from far away, Are you confused? Let me organize it for you. We have to do two things. What should I look
closer and closer? Let's take a closer look at what God has given us. Let's
look in detail even for one piece of grass. God's will for us, the beautiful
value and meaning given to me, the plan of God for each other and the church,
the passion of the faith of the others and the heart to serve ... Let's look in
detail in those things.
그리고 멀리 봐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멀리 큰 구원의 섭리와 계획을 보면서 나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 대해 낙심하지 말고 실망하지 맙시다. 사람의 연약함에 대해, 부족함에 대해 한 걸음 물러서서 기다립시다. 하나님께서 긍휼과 자비로 관을 씌우시고 그에게 독수리처럼 비상할 수 있는
때를 만들어주려고 하시는데.... 내가 하나님보다 먼저 판단하고 세밀하게 정죄하는 일은 없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하나님께서 조성하시는 큰 숲을 봅시다. 내 발등에 있는 돌부리보다는 하나님이 인도하시는 멀고 긴 길을 봐야 하지
않겠습니까? 오늘은 작은 성취보다 내일의 삶의 방향을 고민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And
there is something to see far. Do not be discouraged and disappointed about ourselves
and others as you see the far-reaching plan of salvation. Let us wait and take one
step back for the weakness of human being. God wants to prepare for a time when
he can comfort us with compassion and mercy and make us like an eagle. Should we
not judge before God, and condemn? Let's see the big picture that God creates.
Should we not look at the long road ahead that God plan for us, rather than the
stones at my feet? Should we not consider the direction of tomorrow's life
rather than a small achievement today?
노아의 삶의 한 순간은 부끄럽습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노아의 삶을 통해서 조성하신 큰 숲이 있습니다. 다윗의 삶의 한 순간은 악하고 못났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그의 삶을 통해서 보여주시는 뜻이 있습니다. 베드로도 그렇고 바울도 그렇습니다. 한 순간 그들의 삶의 단면으로 그들을 향하신 하나님의 삶의 계획을 평가할
수 없습니다. 하나님은 그들 모두에게 긍휼과 자비의 관을 씌우셔서... 성경 속에 아름다운
향기를 품어내는 큰 숲으로 만들어주셨습니다. 우리는 하나님보다 한걸음 물러서서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사람들에게 씌우시는
긍휼과 자비의 관을 지켜볼 필요가 있고, 하나님이 그들의 삶을 통해 만드시는 숲의 향기를 느낄 필요가 있습니다.
There’s
moment in life of Noah that’s ashamed. But there was a big plan that God
created through Noah's life. One moment of David's life was evil and unworthy.
But God had a will to show through his life. So do Peter, and so do Paul. For a
moment God’s plan couldn’t be seen as a cross-section of their lives. God has
made them all into a large forest that has a beautiful fragrance in the Bible
... We need to step back from God and watch God's mercy and compassion on God's
people and feel the fragrance of the forest that God makes through their lives.
아무리 알러지가 심해도 제가 엠블러에 있는 숲에 가서 산책을 즐기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그 숲에 있는 작은 풀 하나, 나무 한 그루가 함께 모여 숲을 이루듯.... 나무 한 그루와 같고, 풀 한포기와 같은 우리들을 세밀하고 가꾸시고 돌보시는 하나님의 사랑에 감사하면서.... 우리들 모두에게 긍휼과 자비의 관을 씌우셔서 이렇게 아름다운 숲으로 만들어주시고
교회로 만드시고 세상 가운데 하나님 나라의 향기를 전하도록 인도하시는 하나님께 감사하면서.... 성도 보통씨의 연약함과 부족함을 사랑으로 덮으시는 하나님께 감사하면서.... 오늘도 하나님이 허락하신 아름다운 숲길을
여러분과 함께 걷습니다. No matter how severe allergies are, here is the reason that I go to the woods in Ambler and take a walk. A small grass in the forest, a tree gathered together to form a forest .... Thanking God for the love of God, who is like a tree, Thanking God, who puts all of us in the tranquility of compassion and mercy, to make this beautiful forest, to make it into the church, and to bring forth the fragrance of the kingdom of God in the world. Today we walk with you along the beautiful forest road that God has given us.
|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