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 예배

  • 홈 >
  • 예배와 말씀 >
  • 주일 예배
주일 예배
일어나라, 소녀! 김나래 2023-12-03
  • 추천 1
  • 댓글 0
  • 조회 150

http://chodaepa.onmam.com/bbs/bbsView/82/6325755

이어령 교수를 다들 아실 겁니다.  그는 오랫동안 한국을 대표하는 지성이었고, 작년 2월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을 때까지 동시대를 사는 우리들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그가 2007년에 회심하여 세례를 받은 일은 한국 사회뿐만 아니라 기독교계에서도 큰 사건이 되었습니다.  그는 회심 이후에 학문적인 깊이에 영적인 깨달음이 더해지면서 성경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습니다.  우리가 그동안 읽어왔던 방식과는 다른 시각으로 성경을 읽었고, 새롭고 신선한 충격을 안겨주었습니다.  언어학자였던 그가 마가복음 5장을 읽으면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하지 않았던 질문을 하나 던졌습니다.  

 

“왜 성경의 다른 말들은 대부분 현대어로, 자국어로 번역하면서 ‘달리다쿰’과 같은 말은 아람어 원어를 그대로 사용했을까?”

 

사실 ‘달리다쿰’은 성경에서 친절하게 번역되어 있습니다.  본문 5장 41절에서 “그 아이의 손을 잡고 이르시되 달리다굼 하시니 번역하면 곧 내가 네게 말하노니 소녀야 일어나라 하심이라”(막 5:41)라고 했습니다.  원문과 번역을 동시에 기록하는 마가의 의도를 추측하실 수 있겠습니까? 

 

먼저 이해하실 것은, 예로부터 유대인들은 그들의 언어인 히브리어를 가지고 있었지만 당시 로마에 의해 지중해 근방의 모든 나라들이 통일되면서 언어와 문화가 섞이고 있었습니다.  로마는 통치 언어로 헬라어를 사용했고, 예수님이 사셨던 나사렛과 가버나움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람어를 일상적으로 쓰고 있었습니다.  헬라어를 필요한 만큼 섞어 쓰기는 했지만 예를 들어 지식인으로서의 바울이 사용하는 헬라어와 어부였던 베드로가 사용하는 헬라어는 현격한 수준의 차이가 있습니다.  정리하면 민중들이 사용하던 아람어와 유대지식인들이 사용하던 히브리어, 로마의 지식인들이 사용하던 헬라어가 예수님의 시대에 함께 쓰이고 있었습니다.    

1. 예수님을 만나는 방법

 

우리는 지난 4주간 마가의 시선을 통해서 그 시대 사람들이 예수님을 어떤 과정을 통해서 만났던가를 살폈습니다.  사람들은 각각의 삶의 정황 속에서 예수님을 만났고, 새로운 삶의 이야기를 시작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그 이야기를 듣고 또 전했습니다.  하지만 누구에게 들었든, 누가에게 말했든.... 그리 중요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그래서 그들이 자신의 인생에 예수님과 함께 하는 새로운 이야기를 시작하는가....하는 것입니다.

 

더러운 귀신이 들렸던 사람이 예수님께 다가왔습니다.  우리가 군대귀신이라고 알고 있는 귀신에 사로잡힌 사람이었습니다.  귀신은 그와 예수의 만남을 방해했지만 그는 예수님께 나아왔습니다.  예수님이 그를 고치셨습니다.  귀신으로부터 자유를 얻었습니다.  그 일을 본 사람들이 소문을 내기 시작했고, 그 사람도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에게 있었던 일을 전했습니다.

 

중풍병자가 예수님께 나아왔습니다. 가족들과 친구들이 소문을 들었습니다.  그에게 소문을 전했고, 예수를 만나기를 원했습니다.  예수를 만나고자 하는 열망은 친구들의 헌신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그의 새로운 삶의 이야기가 증거됩니다.

 

예수님은 레위에게 다가가셨습니다.  레위는 아마도 예수님이 궁금했지만 자신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그에게 다가가셨고 부르셨습니다.  그의 집으로 들어가셨고, 삶으로 들어가셨고, 그를 예수님께로 초대하셨습니다.  그는 예수의 이야기를 전하는 사람이 됩니다.

 

예수님은 열 두해를 혈루병을 앓던 여인과 만나셨습니다.  그 여인이 예수님을 만나는 일은 그리 쉽지 않았습니다.  사회적 편견과 비난이 두려웠습니다.  마가는 그녀가 예수님이 부르실 때 두려워 떨면서 자신의 형편을 말했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그 어떤 장벽도 예수님을 만나고자 하는 그녀의 열망을 막을 수는 없었습니다.  두렵지 않은 것 아니었지만, 떨지 않은 것 아니었지만.... 그녀는 간절한 마음으로 주님을 만났습니다.  그녀의 이야기도 증거됩니다.

 

그리고 오늘 우리는 또 하나의 만남을 봅니다.  한 소녀가 예수님을 만나고 있습니다.  잘 생각해보십시오.  이 소녀가 예수님을 만나는 일은 가능한 일입니까?  

 

2. 절망의 절정, 죽음

 

교회가 오랫동안 논쟁해온 신학적인 과제가 있습니다.  사람은 사람의 구원의 문제에 대해 얼마만큼 관여할 수 있을까요?  예를 들어 내가 정말 사랑하고 존경하는 사람이.... 아무리 생각해봐도 믿음이 없이 죽음을 맞이했다고 합시다.  내가 기도하고 헌신하고 교회에 기여하면 그의 구원의 문제에 관여할 수 있을까요?  내가 영적으로 탁월한 교회의 지도자라면 어떻습니까?  나의 탁월한 영성은 사람의 구원이 문제에 관여할 수 있을까요?  오랫동안 카톨릭 교회는 “그렇다!”라고 대답해왔습니다.  그들은 성인의 개념을 만들어서 신과 사람 사이에 두었습니다.  그들의 영성이 힘이 있다고 믿어왔습니다.  교회의 사제들은 사람의 죄를 사하고 구원으로 인도하는 영적인 힘이 있다고 믿었습니다.  교황은 베드로에게 허락하신 천국의 열쇠를 가진 사람입니다.

 

꼭 카톨릭과 같지는 않지만 개신교회들 중에서 구원에 대한 사람의 노력을 인정하는 교단들이 있습니다.  성공회나 감리교단 혹은 성결교 등이 대표적입니다.  우리 장로교회의 개혁주의 신학은 인간은 원죄로 말미암아 하나님이 허락하신 자유의지가 전적으로 타락해버렸다고 봅니다.  하나님의 은혜가 아니면 누구도 하나님을 알 수도, 믿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성공회나 감리교에서는 사람의 자유의지가 선을 적극적으로 기피할 정도로 완전히 타락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사람의 마음 속에는 여전히 선과 사랑을 추구하는 본능이 남아 있다는 겁니다.  구원은 당연히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은혜로 가능한 것이지만 그 구원으로 가는 길에 사람의 노력과 헌신이 함께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어느 교단이나 신학적으로 완전하지는 않습니다.  우리는 모두 하나님을 알고 또 알지 못합니다.  최선을 다해서 건강하고 바른 신학과 신앙을 찾으려고 노력하고 우리가 고백하는 대로 살아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런 측면에서 자신의 신학적 입장을 견지하되 서로의 차이와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가복음 5장과 마태복음 8-9장, 그리고 누가복음 8장을 보면 우리가 몇 주간 생각하고 있는 공통적인 사건을 기록하고 있는 성경인데요, 이 사건들에 대한 접근과 해석에 입장의 차이가 있습니다.  다시 다섯 사람의 예수님과의 만남을 생각해 보십시오.  어떤 사람은 예수님이 그들에게 찾아가셨고, 어떤 사람은 자신이 노력해서 예수님께서 나아갔으며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아... 그렇다면 모두가 예수님을 만나는 공통점이 있는데, 만나는 방법은 각각 차이가 있구나.... 때로는 나의 노력과 사람들의 도움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구나.... 라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오늘 4주간의 설교의 마지막에 죽어가는, 이미 죽은 한 소녀를 생각하려고 합니다.  더러운 귀신에 들려도, 중풍병에 걸려도, 세리로 살아도, 열 두해를 혈루병을 앓아도.... 그들은 모두 살아 있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힘으로 여전히 무엇인가 노력할 수 있는 여지가 남아 있습니다.  그런데 야이로의 딸, 12세 된 이 아이는 다릅니다.  죽을 병에 걸렸고, 곧 죽었습니다.  여러분, 우리는 때로 절망에 대해 말합니다.  우리 인생의 절망의 끝은 어디입니까?  예,, 그것은 죽음입니다.  소녀는 죽었습니다.  절망의 길을 걷다가 절망 속으로 들어가고 말았습니다.  소녀는 자신의 힘으로, 가족이나 아버지의 힘으로, 혹은 세상의 그 어떤 도움으로 예수님을 만날 수 있습니까?  예수님은 소녀를 볼 수 있지만 이미 죽은 소녀는 예수님을 만날 수 없습니다.  만남은 산 사람들에게 해당되는 일입니다. 

 

3. 두 종류의 사람들

 

마가복음 5장 22-23절을 보시면 야이로가 예수님 앞에 엎드리는 장면이 있습니다.  “회당장 중의 하나인 야이로라 하는 이가 와서 예수를 보고 발 아래 엎드리어 간곡히 구하여 이르되 내 어린 딸이 죽게 되었사오니 오셔서 그 위에 손을 얹으사 그로 구원을 받아 살게 하소서 하거늘”(막 5:22-23) 이미 말씀드린 대로 야이로가 이렇게 간청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회당장이며 율법사일 가능성이 많고 유대 사회의 지도자입니다.  그들이 가진 기존 질서를 깨뜨리는 예수님의 말씀에 반발할 수 있으나 무릎을 꿇기는 정말 어려운 일이지요.  그를 무릎꿇게 한 것은 무엇입니까?  딸에 대한 간절한 사랑입니다.  딸이 오랫동안 병들이 있었고, 이제 절망의 고개를 넘고 있습니다.  죽게 될 것 같습니다.  엎드려 빕니다.  제발 한번 내 딸에게 가서 딸을 만나달라는 겁니다.  내가 들었던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처럼 나의 딸도 당신으로 말미암아 새로운 삶의 이야기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겁니다. 중풍병자를 들고 온 친구들 또한 같은 역할을 합니다.  예수님은 그들의 간절한 부탁에 응답하셨습니다.  그런데, 예수님이 야이로의 집으로 가시는 중에 소식이 전해져왔습니다.  야이로의 딸이 죽었다는 겁니다.  이 상황에 집중합시다.

 

사람들의 반응을 볼까요?  35절과 38절과 40절을 보겠습니다.  35절에서 사람들은 예수님과 야이로 혹은 그의 딸이 만나는 것을 막아섭니다.  “아직 예수께서 말씀하실 때에 회당장의 집에서 사람들이 와서 회당장에게 이르되 당신의 딸이 죽었나이다 어찌하여 선생을 더 괴롭게 하나이까”(막 5:35)  예수님을 위하는 말일까요?  야이로를 비난하고 예수님을 부정하는 말입니다.  어차피 죽을 사람 죽을 것이고, 당신의 딸은 죽을 병에 걸렸다가 죽은 것인데.... 왜 쓸데없는 일을 하느냐는 것입니다.  예수를 위해서 혹은 야이로를 위해서 하는 말이 아닙니다.  38절을 보실까요?  “회당장의 집에 함께 가사 떠드는 것과 사람들이 울며 심히 통곡함을 보시고”(막 5:38)  사람들은 떠들고 울고 소리칩니다.  자기 감정을 표현합니다.  절망의 상황에 그저 절망합니다.  심히 통곡했다고 했습니다.  예수님은 상황을 정리하고자 하십니다.  39절에서 너희가 왜 우느냐?  아니가 죽은 것이 아니라 잔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들은 어떻게 반응할까요?  40절을 보실까요?  “그들이 비웃더라”(막 5:40) 라고 했습니다.  소녀 주변에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소녀를 위해서 자신의 무릎을 내어주는 아버지가 있습니다.  간절한 소원을 가진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상황은 절망으로 치닷습니다.  사람들은 각각 자기 안에 있는 가치를 따라 상황에 반응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미 절망해버렸습니다.  예수를 만날 필요도, 예수가 올 필요도 없다고 말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절망에 자신의 마음과 삶을 맡깁니다.  소리치고 울고 심히 통곡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비웃습니다.  

 

두 종루의 사람들이 있지 않습니까?  인생에 어려운 일들이 있습니다.  내가 가진 힘과 능력, 혹은 사람의 상식으로 극복하기 어려운 절망의 고개를 만납니다.  어떤 사람들은 절망하고 어떤 사람들은 울부짖고 어떤 사람들은 원망하며 어떤 사람들은 비난합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소망을 찾아 나섭니다.  참된 소망이 되시는 예수님 앞에 절망을 내려놓습니다.  예수님은 그들의 마음에 응답하십니다.  이미 야이로의 간절한 마음에 응답하셨던 예수님은 절망에, 세상의 상황에, 세상의 질서에 마음과 삶을 빼앗기는 사람들을 지나서 죽은 소녀를 만나셨습니다.  

 

4. 일어나라, 내 딸아!

 

이어령 교수가 ‘달리다쿰’이라는 말에 천착했던 이유가 있습니다.  그에게는 딸이 있었습니다.  그의 회심에 큰 영향을 미친 한 사람이 있는데, 그의 딸인 이민아 목사입니다.  여러 은사를 가진 딸이었는데 어려운 삶을 살았습니다.  1959년생인 그녀는 미국으로 건너와서 변호사가 되고 또 목사가 되었습니다.  그녀는 전세계를 돌먼셔 청소년 문제, 특히 술과 약물에 빠진 청소년들을 위해 헌신했습니다.  1992년에 갑상선 암으로 수술을 받았는데 목회자로 열심히 활동하던 중에 2011년에는 위암 말기 판정을 받습니다.  2012년 3월에 부르심을 받았습니다.  

 

이어령 교수는 한 때 딸과 사이가 나빴습니다.  아버지가 반대하는 결혼과 이혼을 2번씩 했고, 미국으로 건너가서 살았습니다.  서로 친근하게 지내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딸이 병들어서 한국으로 돌아와 투병할 때 딸과 깊은 교감을 가지게 됩니다.  딸을 통해서 예수를 만나게 되고 회심했습니다.  그가 성경을 읽으면서 가장 크게 마음에 울림을 받았던 구절이 ‘달리다쿰’입니다.

 

‘달리다’라는 말은 ‘연약한 자’, ‘작은 자’라는 뜻입니다.  ‘쿰’은 ‘일어나다’라는 뜻입니다.  ‘달리다쿰’은 말 그대로의 뜻으로 보면 ‘연약한 자야, 일어나라!’ ‘병든 자여, 일어나라!’  ‘작은 자야, 일어나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말은 당시 유대인의 일상에서는 다르게 사용되었습니다.  그들은 부모가 어린 자녀를 깊은 잠에서 깨울 때 이 말을 사용했습니다.  즉 달리다쿰은 크게 외치는 소리가 아니라 부드럽게 자녀를 쓰다듬으면서 깨우는 말입니다.  여러분도 잠자는 어린 아들을, 딸을 깨워보셨지 않습니까?  야!  일어나라고!!!!!  라고 하셨습니까?  아마도 세상에서 가장 부드러운 음성으로 부드럽게 어루만지면서 “아가야.... 이제 일어나자, 아침이 밝았고, 새 날이 시작되었으니.... 이제 일어날까?  사랑하는 아가야....”라고 하지 않으셨습니까?  지금 예수님의 소녀를 향한 부름은 바로 이 ‘달리다쿰!’입니다.  예수님이 소녀를 흔들어 깨운 것이 아니라 부드럽게 쓰다듬으시면서... 내 딸아, 이제 일어나자... 라고 속삭이신 겁니다.  이어령 교수가 왜 이 부분에서 그의 마음과 생각이 멈췄는지 아시겠습니까?  그 말은 자신이 어릴 때 엄한 아버지여서 해주지 못했던 말입니다.  이제는 장성했지만 아버지보다 먼저 죽어가는 사랑하는 딸을 보며.... 딸아, 나도 너에게 ‘달리다쿰’하고 부드러운 음성으로 말해주고 싶구나... 그 말을 듣고 네가 일어나주면 좋겠구나.... 이제 죽어가는 너를 보면서 내가 하지 못했던 그 말을 우리 주님이 해주시기를 간절히 기도한다.... 이어령 교수를 이 소원과 함께 믿음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습니다.  그는 마가가 왜 ‘달리다쿰’이라는 말을 번역과 함께 원문으로 기록했을까... 우리에게 질문을 던지면서 자신의 해석을 들려줍니다.  주님 오시는 날까지 성도와 교회가 성경을 읽으면서.... 육신의 아버지보다 더 많은 사랑과 은혜로 부드럽게 딸을 부르시는 주님의 음성이 ‘달리다쿰!’그 원문을 통해서 들리기를 원했다는 것입니다. 그가 2000년의 시간을 넘어서 야이로의 딸을 어루만지시는 주님의 음성이 자신의 딸에게도 들리기를, 전달되기를, 은혜로 감싸기를 소원하면서 자신 또한 주님과 함께 ‘달리다쿰’의 기도를 드리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마가복음 5장을 통해서 4주에 걸친 말씀을 마칩니다.  무엇을 보셨습니까?  네, 예수님을 만나기 위해서 우리에게는 각자의 신앙의 의지가 필요합니다.  좋은 사람들이 필요합니다.  나를 사랑하고 나를 위해 일하는 사람들은 우리를 주님의 은혜의 길로 인도합니다.  하지만 사람이 할 수 없는 일이 있습니다.  내가 아무리 노력해도, 사람들이 아무리 나를 도와도 할 수 없는 일이 바로 우리 주님이 우리에 대해서 하시는 일입니다.  사람들은 소리치고 절망하고 울고 원망하며 비웃습니다.  그러나 나의 구원에 대하여 오직 우리 주님이 일하십니다.  주님이 달리다쿰의 은혜로 우리를 만나시고 우리를 위해 헌신하시고 십자가를 지십니다.  나에게 가장 가까이 다가오셔서 우리의 숨결을 느끼시며 자애로운 아버지의 음성으로 우리를 부르십니다.  내 아들아, 내 딸아.... 이제 죽음에서 일어나 생명의 길로 나아가자.... 이제 절망에서 일어나 소망의 길로 가자.... 같은 음성으로 우리를 부르시는 주님의 말씀을 함께 읽으면서 오늘 말씀을 마칩니다. 우리  큰 목소리로 함께 읽겠습니다.

 

“나의 사랑하는 자가 내게 말하여 이르기를 나의 사랑, 내 어여쁜 자야 일어나서 함께 가자 겨울도 지나고 비도 그쳤고 지면에는 꽃이 피고 새가 노래할 때가 이르렀는데 비둘기의 소리가 우리 땅에 들리는구나 무화과나무에는 푸른 열매가 익었고 포도나무는 꽃을 피워 향기를 토하는구나 나의 사랑, 나의 어여쁜 자야 일어나서 함께 가자”(아 2:10-13)

 

Many of you know Professor Eo-Ryeong Lee. He was Korea's leading intellectual for a long time, and until he received God's call in February of last year, he had a great influence on all of us living today. In particular, his conversion and Baptism in 2007 became a big event not only in Korean society but also in the Christian world. After his conversion, he offered a new perspective for the Bible, adding spiritual enlightenment to academic depth. He read the Bible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an we have been used to, and it gave us a new and refreshing surprise. When he read the book of Mark chapter 5, as a linguist, he asked a question we don't usually ask.

 

 

 

"Why was most of the words in the Bible translated into modern language while words such as ‘Talitha koum’ were used in their original Aramaic language?"

 

 

 

In fact, ‘Talitha koum’ is kindly translated in the Bible. In chapter 5 verse 41 of today's passage, it is said, “He took her by the hand and said to her, 'Talitha koum!' (which means 'Little girl, I say to you, get up!')" (Mark 5:41) Can you guess Mark’s intention in recording both the original text and the translation?

 

 

 

The first thing to understand is that the Jews have had their own language, Hebrew, since ancient times, but as all the countries around the Mediterranean were unified by Rome at the time, languages and cultures were mixing. Rome used Greek as its governing language, and most people in Nazareth and Capernaum, where Jesus lived, spoke Aramaic on a daily basis. Although the Greek language was mixed as necessar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eek language used by Paul as an intellectual and the Greek language used by Peter, a fisherman. To summarize, Aramaic was used by the common people, Hebrew was used by Jewish intellectuals, and Greek was used by Roman intellectuals. They were all in common use during the time of Jesus.

 

   

 

1. 예수님을 만나는 방법

 

 

 

Over the past four weeks, we have looked at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people of that time met Jesus through Mark's eyes. People met Jesus in each situation of their lives and began a new life story. Many people heard and retold the story. But it doesn't really matter who you heard it from or who you told it to. What is important is whether they begin a new story with Jesus in their lives.

 

 

 

A man possessed by an impure spirit approached Jesus. He was a man possessed by a spirit we know as the military spirit. The impure spirit prevented him from meeting Jesus, but he came to Jesus anyway. Jesus healed him. He was freed from the impure spirit. People who saw what happened started spreading the news, and the man also told others about what had happened.

 

 

 

A paralyzed man came to Jesus. His family and friends heard the news. They told him the news, and he wanted to meet Jesus. The desire to meet Jesus is fulfilled through the devotion of his friends. The story of his new life becomes an evidence.

 

 

 

Jesus approached a Levi. The Levi was probably curious about Jesus, but he seemed unsure. But Jesus approached him and called him. Jesus entered his home, entered his life, and invited him to come to Jesus. He becomes the teller of the story of Jesus.

 

 

 

Jesus met a woman who had suffered from a hemorrhage for twelve years. It was not easy for the woman to meet Jesus. She was afraid of social prejudice and criticism. Mark tells us that she trembled with fear when Jesus called her and she told him about her condition. But no barrier could stop her desire to meet Jesus. It wasn't that she wasn't afraid, or that she wasn't trembling. Still, she met the Lord with an earnest heart. Her story is also proof.

 

 

 

And today we see another meeting. A girl is meeting Jesus. Think about it carefully. Is it possible for this girl to meet Jesus?

 

 

 

2. 절망의 절정, 죽음

 

 

 

There is a theological challenge that the church has been debating for a long time. To what extent can man be involved in the matter of man's salvation? For example, let's say that someone I really love and respect died without faith. Could I be involved in the matter of his salvation if I prayed, devoted myself, and contributed to the church? What if I am a spiritually prominent church leader? Can my superior spirituality have any bearing on the issue of man's salvation? For a long time the Catholic Church has answered “Yes!” They created the concept of saints and placed them between God and man. They believed that their spirituality was powerful. The priests of the church believed that there was a spiritual power that could forgive people's sins and lead them to salvation. The Pope is the one who holds the key to heaven given to Peter.

 

 

 

Although not necessarily the same as Catholicism, there are denominations among Protestant churches that recognize a person's efforts for salvation.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the Anglican Church, the Methodist Church, or the Holiness Church. The Reformed theology of our Presbyterian Church believes that the free will granted by God has been completely corrupted by humans due to original sin. Without God's grace, no one can know or believe in God. However, the Anglican Church and Methodist Church believe that a person's free will is not completely corrupted to the point of actively avoiding goodness. The instinct to pursue goodness and love still remains in people's hearts. Salvation is, of course, possible through the grace of the cross of Jesus Christ, but they believe that the path to salvation involves a person's effort and dedication. In fact, no denomination is theologically perfect. We all know God and at the same time do not. I hope we can do our best to find healthy and correct theology and faith and live according to what we confess. In that respect, it is better to maintain one's theological position but acknowledge each other's differences and one's own shortcomings. If you look at Mark 5, Matthew 8-9, and Luke 8, the Bible records common events that we have been thinking about for several weeks.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approach and interpretation of these events. Think again about the five people's encounters with Jesus. For some people, Jesus came to them through their own efforts, and for others, they need the efforts of others. Then, everyone has something in common to meet Jesus, but each person's method of meeting him is different. Sometimes, you may think that your efforts and the help of others play a decisive role.

 

 

 

Today, at the end of our four-week sermons, I'm going to think about a girl who is dying, who is already dead. Even if they are possessed by an unclean spirit, suffer from paralysis, live as a tax collector, or suffer from a hemorrhage for twelve years, they are all alive. They still have room to strive for something in their own power. But this 12-year-old daughter of Jairus is different. She became deathly ill and soon died. Sometimes we talk about despair. Where does the despair in our lives end? Yes, it is death. The girl is dead. She walked down a path of despair and ended up in despair. Can a girl meet Jesus in her own strength, through the strength of her family or father, or through any help in the world? Jesus can see the girl, but the girl who is already dead cannot meet Jesus. Meetings are for the living.

 

 

 

3. 두 종류의 사람들

 

 

 

If you look at Mark 5:22-23, there is a scene where Jairus bows down before Jesus. “Then one of the synagogue leaders, named Jairus, came, and when he saw Jesus, he fell at his feet. He pleaded earnestly with him, 'My little daughter is dying. Please come and put your hands on her so that she will be healed and live.'” (Mark 5:22-23) As I said, it is not easy for Jairus to make this request. He is likely a synagogue leader and lawyer, and a prominent person in Jewish society. They may rebel against Jesus' words that break their existing order, so it is really difficult to kneel in front of Jesus. What brought him to his knees? It is his earnest love for his daughter. Her daughter has been ill for a long time, and she is now reaching the peak of her despair. She looks like she's going to die. He bows down and prays. He asks Jesus to please go to his daughter and meet her. Like the stories of many other people encountering Jesus, he asks Jesus to help his daughter start a new life story through Jesus. The friends who brought the paralyzed person also play the same role. Jesus answered their earnest request. However, while Jesus was on his way to Jairus' house, a news came. Jairus' daughter is dead. Let's focus on this situation.

 

 

 

Let's look at people's reactions. Let’s look at verses 35, 38, and 40. In verse 35, people try to prevent Jesus from meeting Jairus or his daughter. “While Jesus was still speaking, some people came from the house of Jairus, the synagogue leader. 'Your daughter is dead,' they said. 'Why bother the teacher anymore?'” (Mark 5:35) Are these words for Jesus? This is a statement that criticizes Jairus and denies Jesus. People are going to die anyway, and your daughter contracted a fatal disease and died. Why do something so useless? They are not saying this for Jesus or for Jairus. Shall we look at verse 38? “When they came to the home of the synagogue leader, Jesus saw a commotion, with people crying and wailing loudly.” (Mark 5:38) People were making noise, crying, and shouting, expressing their feelings. They just despair in this hopeless situation. They wept bitterly. Jesus wants to straighten things out. Verse 39 says, "He went in and said to them, 'Why all this commotion and wailing? The child is not dead but asleep.'” Then in verse 40 it is said, “But they laughed at him.” (Mark 5:40). There are people around the girl. There is the father who gives up his knees  for his daughter. Some people may have a sincere wish. But the situation descends into despair. People react to situations according to the values they have within themselves. Some people have already despaired. They say there is no need to meet Jesus or for Jesus to come. Some people give their hearts and lives to despair. They scream, cry, and wail bitterly. Some people laugh.

 

 

 

There are two kinds of people. There are difficult things in life. People encounter a mountain of despair that is difficult to overcome with their own strength and abilities, or with their common sense. Some people despair, some cry, some complain, and some criticize. But some people go out in search of hope. They lay down their despair before Jesus, who is their true hope. Jesus answers their hearts. Jesus, who had already responded to Jairus' earnest heart, passed by people who were losing their hearts and lives in despair, the situation of the world, and the order of the world, and met the dead girl.

 

 

 

4. 일어나라, 내 딸아!

 

 

 

There is a reason why Professor Eo-Ryeong Lee was obsessed with the word ‘Talitha koum.’ Prof. Lee had a daughter. And the person who had a great influence on his conversion was his daughter, Pastor Lee Min-Ah. She was had many gifts, but she had a difficult life. Born in 1959, she came to the United States where she became a lawyer and then a pastor. She has dedicated her life to youth issues around the world, especially those who are addicted to alcohol and drugs. In 1992, she underwent surgery for thyroid cancer, and while she was working hard as a pastor, she was diagnosed with terminal stomach cancer in 2011. She received her calling in March 2012.

 

 

 

Professor Eo-Ryeong Lee once had a bad relationship with his daughter. She married and divorced twice, which his father opposed, and moved to the United States to live. They couldn't get along with each other. However, when her daughter got sick and returned to Korea to treat the disease, he developed a deep connection with her daughter. Through her daughter, he met Jesus and was converted. As he read the Bible, the verse that resonated with his heart the most was ‘Talitha koum.’

 

 

 

The word ‘Talitha’ means ‘weak one’ or ‘small one.’ ‘Koum’ means ‘to arise’. ‘Talitha koum’ can be interpreted as ‘You weak one, wake up!’ ‘You who are sick, wake up!’ ‘You little one, wake up!’ However, this phrase was used differently in Jewish daily life at the time. They used these words when parents woke their young children from a deep sleep. In other words, Talitha koum is not a loud shout, but words that wakes the child up by gently stroking them. Have you ever tried to wake up your sleeping son or daughter? Did you loudly say, wake up? Perhaps in the softest voice in the world, gently caressing, you said, “Baby, wake up now, the morning has dawned, a new day has begun. Shall we wake up now?" Didn’t you say, “Dear child...?” Jesus’ call to the girl now is ‘Talitha koum!’ Jesus did not shake the girl to wake her up, but rather gently stroked her and whispered to her, “My daughter, wake up now.” Do you know why Professor Lee's heart and mind stopped at this point? That's something his own father never said to him because his father was a strict one. Although his daughter is now grown, he sees his beloved daughter dying before him. He also wants to say to his daughter in a soft voice, 'Talitha koum.' He wishes his daughter would wake up after hearing those words. As he watches her go, he earnestly prays that the Lord will say the words that he could not say. With this wish, Professor Lee entered the path of faith. He asks us why Mark recorded the word ‘Talitha koum’ in the original text along with the translation and tells us his interpretation by asking us questions. As the believers and the church read the Bible until the day the Lord comes. He wanted the voice of the Lord to gently call his daughter with more love and grace than an earthly father to be heard through the original passage, ‘Talitha koum!’ He also prayed 'Talitha koum' with the Lord, wishing that the voice of the Lord touching Jairus' daughter over 2000 years would be heard, conveyed, and wrapped with grace to his daughter.

 

 

 

We conclude our four-week sermon through Mark chapter 5. What did you see? Yes, in order to meet Jesus, we each need our own will of faith. We need good people. Those who love me and work for me lead us on the path of God's grace. But there are some things humans cannot do. No matter how hard I try or how much people help me, what I cannot do is what our Lord does for us. People shout, despair, cry, complain, and laugh. But only our Lord works for my salvation. The Lord meets us through the grace of Talitha koum, sacrifices himself for us, and carries the cross. He comes closest to us, feels our breath, and calls us with the voice of a loving Father. My son, my daughter, now let us rise from death and move on to the path of life. Now let us rise from despair and go on the path of hope. Today we read together the words of the Lord who call us with the same voice. I conclude this sermon with the following passage:

 

 

 

“나의 사랑하는 자가 내게 말하여 이르기를 나의 사랑, 내 어여쁜 자야 일어나서 함께 가자 겨울도 지나고 비도 그쳤고 지면에는 꽃이 피고 새가 노래할 때가 이르렀는데 비둘기의 소리가 우리 땅에 들리는구나 무화과나무에는 푸른 열매가 익었고 포도나무는 꽃을 피워 향기를 토하는구나 나의 사랑, 나의 어여쁜 자야 일어나서 함께 가자”(아 2:10-13)

 

 

 

"My beloved spoke and said to me, 'Arise, my darling, my beautiful one, come with me. See! The winter is past; the rains are over and gone. Flowers appear on the earth; the season of singing has come, the cooing of doves is heard in our land. The fig tree forms its early fruit; the blossoming vines spread their fragrance. Arise, come, my darling; my beautiful one, come with me.'” (Song of Solomon 2:10-13)​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아주 오래된 편지 김나래 2023.12.10 1 135
다음글 '사귐 2.' 채동준 2023.03.02 1 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