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의 실패 | 이응도 목사 | 2012-09-12 | |||
|
|||||
예배의 실패 지난 주 월요일, 노동절에 필라델피아 기독교 방송국 주최로 7개 교회와 필라 기독교 방송국팀, 총 8팀이 참석하는 축구 대회가 열렸습니다. 처음 있는 일이라 제가 속한 교회도 즐거운 마음으로 참가했습니다. 사실 이번 축구대회를 준비하면서 걱정되는 일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축구라는 것이 남성적인 운동이면서 이기고 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쉽게 과열될 수 있고, 교회 간에 감정적인 대립이 발생할 수 있지 않을까 우려했었습니다. 하지만 개 교회가 서로 조심하고 존중하면 그 정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그 날, 비가 많이 왔습니다. 비 맞으며 축구를 하는 것이 나름 추억이 되는 일이라 모두들 열심히 뛰었습니다. 우리 초대교회는 첫 경기에 지고, 두 번째 경기는 이겼습니다. 두 번째 경기를 마친 다음 아직 대회가 끝나지는 않았지만 우리는 그만 돌아가기로 결정했습니다. 뭔가 그리 유쾌하지 않은 경험들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물론 경기라는 것이 이기면 좋은 것이고, 또 이기기 위해 하는 것이지만 지고도 서로를 축하하며 즐거울 수 있어야 하는 것인데, 그 날 경기는 그렇지 못했습니다. 사실 우리 지역에 있는 교회들이 남성들로 이뤄진 축구팀을 구성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축구 경기를 하다 보면 친한 친구들을 불러서 같이 뛰기도 합니다. 또 전도를 목적으로 믿지 않는 이웃들을 그런 시합에 참석시키는 것도 이해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그것을 꼭 ‘부정선수’라고 탓할 필요를 느끼지는 못합니다. 다만 서로 양해를 구하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충분히 선수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기기 위해서 더 잘하는 선수들을 데려다가 뛰게 하는 것은 잘못입니다. 교회가 연합해서 체육대회를 개최하는 목적과 이유에 맞지 않습니다. 어린 학생들이 선수로 뛰었던 우리 교회는 비록 한 경기를 이기기는 했지만 그런 현실에 즐거운 마음을 가질 수가 없었고, 일찍 교회당으로 돌아왔습니다. 오히려 교회당으로 와서 성도들과 함께 바비큐를 즐기고 다른 운동을 했습니다. 시작은 그리 좋지 않았지만 끝은 아주 즐거웠습니다. 그런데 남은 축구 대회의 일정이 그리 순탄하지가 않았습니다. 결승에 오른 팀들이 서로 다른 팀에 부정 선수가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경기가 중단되고 말았습니다. 고성이 오가고, 좋지 못한 말들이 오갔습니다. 한 교회가 짐을 싸서 가버렸고, 남은 교회가 우승컵을 가져갔습니다. 전체 축구 대회를 도와서 진행하던 필라 축구협회 사람들이 혀를 차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쯧쯧… 교회가 왜 이래요. 교회가 하는 행사에 이게 뭐예요….” 저는 이번 축구 대회가 우리들에게 주는 교훈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7개 교회와 기독교 방송국이 모여서 하나님의 이름을 걸었습니다. 대회를 준비하고 진행하는 동안 우리는 함께 기도했고 예배했습니다. 같은 지역의 교회가 서로 연합하고 섬기면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수가 있다고 믿었습니다. 체육대회가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아름다운 예배가 될 수 있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결과적으로 우리는 그렇게 하지 못했습니다. 내가 속한 교회가 더 잘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내가 속한 교회가 이기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잘못된 방법으로 경기를 준비했고, 서로를 비난하며 싸웠습니다. 하나님께 드리는 아름다운 예배가 될 수 있었는데, “쯧쯧… 교회가 왜 이래요…”라는 말을 듣는 비참한 대회가 되고 말았습니다. 저는 지난 월요일 모였던 교회들과 성도들의 신앙을 의심하지 않습니다. 다만 믿음으로 구원받은 우리들이 연약하고 어리석었다는 생각을 합니다. 하나님이 허락하신 함께 예배할 수 있었던 좋은 기회를 오히려 부끄러운 기억으로 만들고 말았습니다. 성도의 연합과 교제라는 아름다운 가치를 서로 나누지 못하고 분쟁하고 다투고 상처를 안고 돌아갔습니다. 하나님이 허락하신 예배의 좋은 기회를 빗물 고인 운동장에 묻어 버리고 말았습니다. 고백하건대, 그런 일 즉 우리가 경험했던 ‘예배의 실패’는 오늘날 우리의 삶에 쉽게 반복되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허락된 하나님 나라의 아름다운 가치를 우리가 너무 쉽게 잊어버리고 세상의 질서를 따라 살아가기 때문입니다. 믿기는 하지만, 구원 받은 성도가 교회로 모였지만, 내가 받은 구원을 의심하지 않지만, 나는 내가 원하는 대로 살고 싶기 때문입니다. 마치 지난 월요일처럼 말입니다. 교회들이 하는 행사가 뭐 이런 식이냐고 혀를 차던 사람들의 목소리가 귀에 쟁쟁거립니다. 그들의 실망과 한숨은 이 지역과 같은 시대를 섬기는 우리들 모두가 책임져야 할 믿음의 빚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을 예배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이응도 목사 / 필라델피아 초대교회, 가정 상담 연구원 215-869-5703, edwinlee@naver.com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