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 칼럼

  • 홈 >
  • 예배와 말씀 >
  • 목회 칼럼
목회 칼럼
아름다운 교회 김나래 2024-01-14
  • 추천 1
  • 댓글 0
  • 조회 124

http://chodaepa.onmam.com/bbs/bbsView/14/6349612

아름다운 교회

 

‘한스 큉’이라는 신학자가 있습니다.  스위스 출신이고 카톨릭의 사제였습니다.  그는 카톨릭의 교회와 신학이 끊임없이 개혁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가 쓴 책 중에서 가장 많이 읽힌 책은 ‘교회론’입니다.  그는 이 책에서 “교회란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그는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이 양파를 벗기는 것과 같다고 말합니다.  양파의 껍질을 한 겹씩 벗기다보면 결국 남는 알맹이는 아무 것도 없습니다.  하지만 알고 보면 하나씩 벗겨진 껍질들이 양파 아니겠습니까?  그는 교회의 본질을 찾기 위해 연약한 부분과 부족한 점들을 제거하려고 하다보면 그것은 하나님이 이 땅에 세우신 지상교회의 현실적인 모습을 부정하는 것과 같다고 말합니다.  이상적인 교회는 지상의 교회에 없습니다.  교회의 이상적이지 않은 모습들의 껍질들을 벗기다보면 결국 알맹이 없는 교회가 되고 맙니다.  벗겨낸 모든 껍질이 지상의 교회의 모습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한스 큉은 교회는 사람의 역사 안에 있으면서 현재의 상황에서 출발하고 하나님 나라를 향한 미래의 비전을 품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또 그는 재미있는 질문을 한 가지 던집니다.  “당신은 교회를 믿을 수 있는가?”  그는 먼저 아니라고 말합니다.  교회는 피조물입니다.  하나님이 사람을 만드시고 관계를 만드실 때 가정과 교회를 만드셨습니다.  피조물은 믿음의 대상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교회의 연약함이나 부족함을 발견할 때 너무 낙심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교회는 신뢰할 수 있는 대상이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하나님을 믿는 신앙의 공동체이기 때문입니다.  이 세상에서 사람의 논리가 아니라 하나님의 뜻이 온전히 이루어지는 유일한 관계가 교회이어야 합니다.  세상이 교회를 보며 하나님의 뜻의 성취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래서 한스 큉은 교회를 무엇이라 설명할까요?  그는 교회의 뿌리는 예수님 자신이라고 말합니다.  그 뿌리에서 예수를 그리스도로 고백하는 신앙공동체가 자라나서 교회가 된다고 했습니다.  예수님의 생애에 교회는 없었습니다.  하지만 예수님의 생애가 없다면 교회도 존재할 수 없습니다.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는 믿음으로 시작한 공동체는 예수의 생애를 교회의 오늘의 삶으로 전화시킬 수 있는 믿음과 용기가 있어야 합니다.  이것이 한스큉이 말하는 교회입니다.

  

한 때 우울증에 빠진 적이 있었던 한 연예인이 자신에게 위로를 주었던 한 단어를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그 단어는 ‘아름답다’는 말입니다.  그는 자신의 삶이 아름다울 수 있을까?  어떻게 살면 아름다운 사람이 될 수 있을지를 고민했습니다.  

 

학자들은 아름답다는 말의 어원을 크게 두 가지로 생각합니다.  첫째는 ‘아름답다’라는 형용사는 아마도 ‘알음’이라는 명사에서 왔을 것이라는 추측입니다.  즉 ‘알다’라는 동사에 명사형 접미사 ‘음’이 붙어서 ‘알음’이 되었고, 그 명사에 ‘답다’라는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가 붙어서 ‘알음답다’, ‘아름답다’가 되었다고 보는 견해입니다.  내가 알고 있는 대상의 본성이 드러날 때 그것이 가장 적합하고 좋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세상 살다보면 나의 본질적 가치가 드러나지 않고 환경에 의해 흐트러지는 현상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가장 아름다운 것은 우리 모두가 알고 있는 창조적 본성이 나타날 때입니다.  두 번째는 15세기 문헌 석보상절에서 찾습니다.  석보상절에서는 ‘아(我)답다’는 표현을 씁니다.  여기서 ‘아’는 ‘我’ 즉 자아를 말합니다.  자신답다는 겁니다.  석보상절에서 ‘아’라는 단어를 사용할 때는 ‘사(私)’의 뜻에 가깝습니다.  모든 개인이 각각 자신이 가진 개성과 특질을 따라 살고 일할 때 가장 아름답고 가치있다는 뜻입니다. 

 

그 연예인은 아름답다는 말의 어원에서 큰 위로를 얻습니다.  나는 언제, 어떻게 아름다운 삶을 살 수 있을까?  다른 사람들의 시선이나 평가에 연연하지 않고, 내가 내 삶에 부여된 가치와 목적을 찾아서 발견하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하는지를 알아서 그렇게만 살 수 있다면 나는 아름다운 사람일 수 있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사람은 가장 자신다울 때, 내가 나 다울 때 아름다운 삶을 살고 있는 것입니다.  성도도 그러하고 교회도 그러합니다. 성도가 성도답고, 교회가 교회다울 때.... 우리는 가장 아름다운 교회와 성도와 한 사람으로 살아가고 있는 것입니다.  때로 우리의 신앙이 흔들리고 교회가 어려워질 때 우리는 늘 성도다움, 교회다움의 기본으로 돌아갈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가장 건강하고 가장 아름다운 교회와 성도로 회복될 것입니다.   

 ​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우리의 보험 김나래 2024.01.21 1 113
다음글 “당신은 우리를 알고 있는가?” 김나래 2024.01.07 1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