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 예배

  • 홈 >
  • 예배와 말씀 >
  • 주일 예배
주일 예배
선교적 교회 - (4) 일상의 잔치 na kim 2017-12-27
  • 추천 0
  • 댓글 0
  • 조회 655

http://chodaepa.onmam.com/bbs/bbsView/82/5358638

2017. 12. 24.

 

* 본 문 : 누가복음 1726-30절 말씀

* 제 목 : 선교적 교회 - 4. 일상의 잔치

 

2017년의 성탄 이브입니다. 제게는 성탄과 관련한 오래 묵은 추억들이 많습니다. 그 중에 새벽송에 대한 기억들은 특별합니다. 제가 아마도 승하만 할 때부터 부모님을 따라다녔던 것 같습니다. 지금처럼 저녁에 다닌 것이 아니라 그 때는 정말 12시가 가까운 시간부터 새벽까지 부산 해운대 곳곳을 걸어 다니면서 새벽송을 했습니다. 저희 아버님은 꼭 찬양을 할 때 첫 음을 잡아주셨습니다. 예를 들면 이번에는 기쁘다 구주 오셨네 찬양 합니다.”라고 말씀하시고, 지휘를 하듯 손을 드시고는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의 첫 음을 잡아주십니다. “, , , ~~” ‘고요한 밤, 거룩한 밤을 부르면 똑 같이 , , , ~~”, ‘저들 밖에 한 밤 중에를 부르면 , , 저 저~~”하면서 첫 음을 잡아주셨습니다. 그런데 어떤 찬양을 하든지 다 네 개의 음이 똑 같았습니다. 성도들과 그런 이야기를 하면서 웃으면서 청년 때까지 아버지를 따라서 새벽송을 했습니다. 또 기억에 남은 일이 있다면 해운대에 있는 장산의 군인 부대에서 새벽송을 하던 일이었습니다. 성도들 중에 군과 관련한 일을 하는 분이 있었고, 그 분의 주선으로 부대에서 보내준 차를 타고 장산 꼭대기에 있는 미사일부대에서 새벽송을 했었습니다. 군인들의 열화와 같은 환영과 한 번도 먹어보지 못했던 특별한 음식들을 먹었던 것 같습니다.

 

저희 교회는 올해도 새벽송을 합니다. 이민 교회로서 어려움은 있지만 저는 이 일이 참 좋은 교회의 전통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교회에서의 새벽송에도 추억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 싶은 추억 하나 소개하려고 합니다.(사진 1,2,3) 홍집사님... 보고 싶으시죠? 3년 전에 홍집사님께서 가까운 병원에 입원하셨을 때 첫 새벽송을 홍집사님 병실에서 했습니다. 손주들의 악기 연주도 있었고, 저희도 최선을 다해서 찬양을 했습니다. 홍집사님도... 눈물을 흘리시면서 함께 찬양을 했었습니다. 마치 한편의 짧은 드라마같이 기억을 클릭하면 영상으로 떠오릅니다. 오늘도 저녁 시간부터 중고등부 자녀들을 중심으로 새벽송을 합니다. 천사들이 여러분의 집을 방문하고 구세주가 오시는 복된 소식을 찬양으로 전할 것입니다. 아직 신청하지 않은 분들은 오늘 친교 시간까지 신청해주시고, 복되고 좋은 복음과 찬양의 교제가 있기를 바랍니다. 혹시 너무 늦을까 부담이 되는 분들은 좀 빨리 와달라고 일정을 조정하시면 됩니다.

 

1. 성탄을 준비하다.

 

제게 새벽송에 대한 좋은 기억들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기쁜 성탄절에 성도들이 다 보는데서 떼를 쓰고 울었던 적이 있습니다. 지금도 생각하면 손이 오글거립니다. 아마 초등학교 4학년 정도 되었을 때입니다. 보통 새벽송을 여러 팀으로 지역을 나눠서 가니까요, 새벽 4시를 전후로 한 팀씩 각 가정에서 받은 선물들을 들고 돌아옵니다. 해운대의 칼바람을 맞으면서 다녔기 때문에 교회당이나 사택으로 오면 난로 주변이나 아랫목으로 성도들이 모입니다. 중고등부 형, 누나들은 또 자기들끼리 모여서 게임을 하고 놉니다. 너무 즐겁고 재미있습니다. 그런데.... 문제의 그날, 문득 잠에서 깨어보니 아무도 없는 겁니다. ... 이게 어떻게 된 일이지.... 잠시 상황을 파악했습니다. 한국에서는 유년주일학교 예배가 아침 9, 성인 예배가 11시이잖습니까? 제가 너무 깊이 잠이 든 바람에 유년주일학교 예배를 놓친 겁니다. 그런데 문제는 예배가 아니었습니다. 그때 유년주일학교에서는 1년간 출석, 전도, 요절, 헌금... 등등을 통계를 내서 등수를 매기고 상을 줬습니다. 제가 새벽송을 마치고 잠을 자느라고 그 상을 못받은 겁니다. 이불을 박차고 나가서 그 때부터 떼를 쓰고 울기 시작했습니다. 예배를 마치고 성도들이 나와서 식사를 하는데 목사 아들이 떼를 쓰고 울었습니다. 이건 내 잘못이 아니라 엄마 잘못이라고... 아들이 늦잠을 자면 엄마가 깨워서 교회를 보내야지 왜 안깨웠냐고... 내가 다른 거 하다가 늦잠 잔 것도 아니고 새벽송하다가 피곤해서 그런 건데 안깨웠다고.... 원망을 하고 울고...아주 난리가 났습니다. 선생님이 저를 위해서 상을 따로 챙겨뒀다는 사실을 알 때까지, 그리고 사실 좀 부끄럽고 겸면쩍은 기분이 사라질 때까지 저의 땡깡은 계속되었습니다. 지금도 그 생각을 하면, 땡깡을 부리는 저를 보는 성도들의 눈빛이 기억납니다. 하하... 몸 둘 바를 모르겠습니다.

 

11살의 제게 성탄절하면 중요한 것은 무엇이었을까요? 태어나보니 목사 아들이고, 커보니 늘 교회에 있었고, 때가 되니 모두가 성탄절을 축하합니다. 왜 그렇게 해야 하는지, 무엇을 기뻐해야 하는지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재미를 위해서 새벽송을 따라갔고, 상을 못받는다고 생각하고 전 교인이 보는 앞에서 쇼를 했습니다. 제게 과연 예수님의 탄생은 얼마나 의미있고 복된 사건이었을까요? 새벽송은 어떤 의미가 있었을까요? 물론 그런 과정을 통해서 교회를 알고 신앙은 성장합니다. 다만... 제가 잊지 못하는 그 사건은 제게 중요한 교훈을 하나 줬습니다. 탄을 준비하다보니 성탄을 놓칠 수 있습니다. 신앙생활을 열심히 하다 보니 신앙을 잊기도 합니다. 나는 한 번도 신앙을 부정하거나 하나님을 외면한 적이 없는데, 어느새 나는 불신앙의 일상을 살기도 합니다. 주어진 삶에 최선을 다했는데 하나님과의 관계에 위기가 찾아오기도 합니다.

 

2. 복음의 초대

 

마태복음은 왕으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라는 관점으로 기록되었습니다. 당연히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 하나님의 나라에 초점이 있습니다. 마태복음이 마지막으로 갈수록 다시 오실 왕에 대한 예언과 비유의 말씀이 많습니다. 그 중에 22장에 가면 왕의 아들의 혼인잔치 비유가 있습니다. 우리가 어릴 적에 많이 부르던 죄송해요라는 찬양의 가사가 이 비유에서 왔습니다. “죄송해요, 죄송해요. 정말 잔치에 갈 수 없소. 장가 가야 하고, 소도 사야 하고, 논과 밭에 나가서 할 일은 많아. 나 어이하리 죄송해요.” 이런 내용이었습니다. 중고등부 때 ~~송해요...죄송해요...”하면서 손뼉치며 부르던 기억이 있습니다. 하지만 찬양의 내용은 심각합니다. 왕이 아들의 혼인잔치를 준비합니다. 백성들을 초대했습니다. 백성들은 잔치에 갈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의 일상이 너무 바쁘기 때문입니다. 해야 할 일이 너무 많습니다. 그들이 왕에 대해 반역을 일으킨 것이 아닙니다. 다른 나라 백성이 되겠다고 하지도 않았습니다. 다만 왕의 자기 아들의 혼인잔치가 그들의 일상을 방해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일상을 선택합니다. 그런데... 왕은 진노합니다. 그 마을을 멸망시켜버립니다. 왕이 너무한 것 아닙니까?

 

예수님은 왜 이런 비유를 주셨을까요? 제가 어릴 적 만해도 그랬습니다. 제가 기억하는 거제도에 사셨던 외할아버지의 환갑잔치는 거의 일주일 정도 계속되었습니다. 할아버지는 그 지역의 모든 사람들이 인정하는 어른이셨습니다. 사람들이 와서 잔치 음식을 먹고 가고 얻어가기도 했습니다. 한번도 본 적도, 만난 적도 없는 사람들도 와서 자리에 앉아서 덕담을 하고 음식을 나누었습니다. 비슷하지 않을까요? 2000년 유대 땅, 한 동네에서 가장 부유하게 사는 사람의 집에 혼인 잔치가 열린다고 합시다. 푸짐하게 잔치상이 펼쳐지고 누구나 와서 먹고 마실 수 있도록 대문을 열었습니다. 아마도 초대받지 않은 모든 동네 사람들이 일가친척까지 와서 잔치를 즐기고 먹고 마실 겁니다. 왜요? 당시에는 정말 먹을 것이 없었으니까요... 힘들고 어렵게 살았으니까요... 부르지 않은 사람까지 와서 먹고 마시는 것이 당시의 잔치였습니다.

 

그런데 초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오지 않겠다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 잔치보다 더 중요한 자신이 일이 있다는 겁니다. 잔치 음식...? 그 정도의 은혜는 내게도 있습니다. 잔치의 주인...? 내게는 그 사람보다 더 중요한 나의 일상이 있습니다. 왕의 기쁨...? 내 즐거움이 더 중요합니다. 사람들이 왕의 초대를 거절하고 자신의 일상을 선택했습니다.

 

3. 일상의 거절

 

오늘 본문에 비슷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좀 심각합니다. 단순한 잔치의 초대가 아니라 진노와 심판의 말씀이 선포되었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갈 것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물로 세상을 심판하실 것이라는 말씀... 복음입니까? 곧 불과 유황으로 소돔과 고모라를 멸망시킬 것이라는 말씀... 복음입니까? , 이 세상에 선포되는 하나님의 말씀은 복음입니다. 복음은 내 마음에 맞고 나를 유익하게 하는 말씀이 아니라 피조물에 대해서 선포되는 창조주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그 복음에 믿음으로 반응할 때 방주를 만들고 소알성으로 피신하는 것입니다. 하늘의 복음이 그들의 삶에서 복음되는 것입니다. 분몬에서 노아와 롯의 시대에 복음이 선포되었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의 세상에 대한 복음의 초대가 세상의 일상으로부터 거절당했습니다. 사람들은 먹고 마시고 사고팔고 결혼하고 심고 집을 짓습니다. 본문은 이렇게 말합니다.

 

노아의 때에 된 것과 같이 인자의 때에도 그러하리라 노아가 방주에 들어가던 날까지 사람들이 먹고 마시고 장가 들고 시집 가더니 홍수가 나서 그들을 다 멸망시켰으며 또 롯의 때와 같으리니 사람들이 먹고 마시고 사고팔고 심고 집을 짓더니”(17:26-28)

마태복음 28장의 왕의 초대나 누가복음 17장의 본문에서 노아와 롯의 시대에 대한 하나님의 기억을 보시기 바랍니다. 성경은 그들이 하나님을 대적하거나 다른 신을 전파하거나 왕을 거역했다는 표현을 하지 않습니다. 성경의 기록, 즉 하나님의 기억은 그들이 복음을 거절한 이유입니다. 그것은 바로 그들의 일상이었습니다. 그들에게 복음의 초대보다 일상의 분주함이 더 중요했던 것입니다. 그들의 일상이 하나님의 복음을 그들의 복음 되는 것을 방해하고 있습니다.

 

4. 우리는 교회입니다.

 

오늘 성탄 이브인데 너무 진지한가요? 분위기를 업시키기 위해서 제가 영상 하나를 준비했습니다. ‘코메디 빅리그라고 개크 콘서트보다 인기 있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잠입수사라는 코너를 소개합니다. 두 형사가 범인을 잡기 위해서 각종 직업 전선에서 잠입수사를 한다는 설정입니다. 보시면 쉽게 이해가 됩니다. (영상 2017.10.1 코메디빅리그 33:10-37:47)

 

최형사와 이형사는 임무를 완수할 수 있을까요? 무사히 잠입수사를 마치고 복귀할 수 있을까요? 여러분과 저는 이 세상에서의 임무를 마치고 하나님의 나라로 무사히 복귀할 수 있을까요? 이 세상에서의 임무...? ... 뭐였더라... 내가 임무가 있었나....? 뜬금없게 여겨지십니까? 마치 최형사와 이형사처럼 우리가 왜 이 세상에 보냄을 받은 것인지, 나의 사명은 무엇인지를 잊고 계신 것은 아닙니까? 그들은 왜 형사로서의 사명과 잠임수사의 임무를 잊던가요? 먼저 나왔던 최형사는 너무 바빠~~! 너무 힘들어~~!”입니다. 뒤에 나온 이형사는 범인을 잡는 것보다 국밥집을 운영하는 일이 훨씬 더 재미있습니다. 성도 여러분! 왜 성도로서의 우리가 복음을 외면합니까? 왜 성도인데 삶은 기쁘지 않고 관계는 힘듭니까? 왜 믿음은 있는데 믿음으로 살지 않습니까? 왜 복음은 들어왔는데 잔치는 시작되지 않습니까? 왜 초대는 받았는데 나는 잔치의 즐거움과 기쁨에 전혀 동의가 되지 않습니까? 왜 내 마음은 장가가야 하고 소도 사야하고 논과 밭에 나가서 할 일이 얼마나 많은지를 고민하고 있습니까? 주님이 다시 오시는 날, 한 달란트 받았던 종은 책망 받아야 하고 문 밖에 나가서 슬피 울며 이를 갈아야 합니까? 왜 성도라 불리는 수많은 우리들은 이 세상을 이형사로 살면서 최형사로 일하고 있습니까?

 

신약의 교회가 결정한 가장 큰 교회적 절기는 성탄절과 부활절입니다. 하나님이 우리들에게 절기를 허락하신 이유는 무엇일까요? 'remember'입니다. 우리가 얼마나 연약하고 어리석은지를 하나님이 잘 아시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바쁜 일상은 복음과 충돌합니다. 문제는 우리가 그것을 의식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심지어 사탄은 우리의 신앙적 일상을 만들어서 복음과 충돌하게 합니다. 무슨 말입니까? 살다보니, 일하다 보니 잊는 것이 너무 많습니다. 일상의 삶은 중립적이지만 삶에 대한 선택은 가치와 관련됩니다. 우리 안에 있는 가치가 선택에 작용합니다. 나도 모르게 일상의 필요와 즐거움에 길들여지다보면.... 우리는 하나님의 놀라운 역사를 보고 출애굽을 결정했고, 홍해가 갈라지는 것을 봤고, 날마다 만나를 먹으면서도.... 물이 없다고 하나님을 원망하고 모세를 죽이려는 광야의 이스라엘 백성들처럼 됩니다. 일상의 삶에서 하나님에 대해 열리지 않고, 이웃에 대해 닫혀 있습니다. 우리의 분주한 일상이, 바쁜 몸과 마음이 하나님이 열어주신 문을 가로막고 있고, 형제와 이웃에게 열려야 할 문을 굳게 닫고 있습니다.

 

11, 이응도의 성탄절은 그렇게 지나갔습니다. 새벽송을 해서 피곤했고, 좀 늦게 잠을 잤고, 상을 못받을 것 같아서 쇼를 한번 찐하게 했고, 평생 그 부끄러움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그날 우리에게 찾아오신 예수님을 기뻐하고 감사했던 기억은 없습니다. 그렇게 성장했습니다. 하지만 이제 고민해야겠습니다. 우리는 교회입니다. 나는 성도입니다.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가 임했고, 우리가 그 나라에 살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일상의 삶에서 하나님 나라의 잔치를 즐기라고 말씀하십니다. 잔치는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Today is 2017 Christmas Eve. I have many childhood memories when it comes to Christmas Eve. One of them, and the most significant memory is Christmas caroling.  I remember at around my daughter’s age, I started following my parents to caroling. It was not a typical caroling that started in the evening. We started caroling at midnight till dawn from house to house in Busan on foot. My dad would lead the song with first note. For instance, “Next, we will sing Joy to the World”, then he will start conducting with his arms and give first notes for soprano, alto, tenor and base. “Joy, Joy, Joy, Joy~~”.  Then for Silent Night, Holy Night, “Sile, Sile, Sile, Sile~~.  The same for The First Noel, the Angel Did Say, “The, The, The, The~~.  But somehow, all different parts sounded the same. We used to laugh about it and followed my dad caroling till my youth age. Another memory is, caroling at Jangsan military unit in Haeundae. One of church member worked at the military. He requested us caroling and provided transportation to the missile unit that was at the top of the mountain. I recall soldier’s weakening welcome and special foods that I have never eaten before.

 

Our church will do caroling again this year. This could be difficult for Korean generation churches in the states. However, I think caroling is a great church tradition.  Our church has great caroling memories as well. I want to share one of them. Hong jipsanim, don’t you miss Hong jijpsanim? It’s been three years, we visited Hong jipsanim as first carol location at the hospital. We had children playing instruments and I did too praise with my best. Hong jipsanim….started tearing up and sang along. I recall the setting as if it is a short drama that can be played with a click of a button. Today, our youth group will do caroling that will start in the evening. Angels will visit your home and share the blessed news of the coming of the Savior with praise. Those who have not yet requested, please request. I hope this will bring blessing and good fellowship. If the time is a concern, you could request time for earlier. 

 

1.  Prepare for Nativity

Not all my childhood caroling memories are great. On Christmas day, I remember giving a rage and crying in front of church members. I still feel embarrassed about it. I think I was in 4th grade. Usually, we divide into groups caroling and around 4am, people start to return to church with received gifts. After caroling in Haeeundae, located near shoreline, we come back from caroling in brisk wind. When people return to church and pastor’s house, we would gather near the heater or any place warm. Youth group hyungs and noonas would have fun playing games amongst themselves.  But then….one day, I woke up with no one around. I did not know what was happening and tried to gather and understand the situation. In Korea, typically, the youth group Sunday Service is at 9am and at 11 for the adults.  I fell asleep so deeply, I missed the youth group service. But, that was not the concern for me.  Back then in youth group, you are awarded with gifts for those with perfect attendance, evangelism, remembering bible verse, offering and etc…. But because I fell asleep after caroling, I missed receiving an award, a gift.  I kicked my comforter, went outside and started temper tantrum. After service, church members witnessed my, pastor’s son’s temper tantrum on their way to the cafeteria. I started blaming my mom. If your sons oversleep, mom should wake me up and send me to the church. I did not over sleep doing something else. I overslept because I was tired after caroling. I was furious and crying out loud. Not until I realized my teacher saved gift for me, and not until I was actually feeling ashamed and embarrassed, I continued my rage. If I still think about it, I still recall church members’ looks towards my outrageous tantrum.  Hahaha…embarrassing…

 

What was important to me, at my 11th ‘Christmas’? When I was born, I was the son of a pastor, and I was always in church, celebrated Christmas just like any other Christmas. It did not matter why you should or why you should enjoy. Rather, I just followed caroling for fun, and got furious when I thought I was not going to get a gift. How meaningful and blessed event  was Jesus’s birth to me? How meaningful was caroling? Of course, through such process and incidents, we know the church and our faith grows.  But,,,the case that I cannot forget gave me an important lesson. We can misunderstand Christmas as we prepare Christmas. We can forget our faith in our busy faithful life. I have never denied my fiath or turned away from God, but could live in faithless life. I have done my best in faithful life, but could face weakness in my relationship with God.

 

2. Invitation of the Gospel

In book of Matthews, it records with ‘Jesus Christ as King’ as a focal point. Of course, it focuses on kingdom of Jesus Christ, kingdom of God. Towards the end of Matthew, it talks about prophecies and parables of the return of the King. In chapter 22, there is a parable of the wedding of the son of the King.  The lyrics of the song “I’m sorry”, which we used to sing as a child, came from this parable.  “I’m sorry, I’m sorry. I cannot really attend to a feast. There are many things to do, get married, buy cow, take care of farm. I am truly sorry”, were the part of the lyrics.  I remember praising “I’m~sorry… I’m sorry..” with clapping my hands back in youth group. But the content of the praise is serious.   The king prepares the wedding banquet for his son. People are invited. But the people cannot attend the feast. Because their daily routines are too busy. There are too many things to do. They did not rebel against the king. They did not wish to become people of another country. Just the wedding feast of the king’s son is interfering with their daily routine. But… the king is wrathful. He destroys the town. Didn’t he go too far?

 

Why did Jesus give such parable? When I was young, at my grandfather’s 60th birthday, which I remember in Geoje Island, lasted almost a week.  My grandfather was an adult recognized by everyone in the area. People came and ate the feast food. Even people who I have never seen or met sat down to share food. Would it be same? Let’s say that in year 2000, in Jewish land, a marriage feast is held in the house of the richest living person in a town. The banquet is open to anyone and anyone could come and eat and drink. Perhaps all the uninvited neighborhoods will come, enjoy the feast, eat and drink. Why? Because people had nothing to eat…..because it was hard to live….even uninvited people com eat and drink was part of the tradition.

 

However, the people who were formally invited did not come. Something else was more important than the feast to them. Feast food….? I have that kind of grace.  Main person of feast….?  I have my daily life that is  more important than him.  The joy of the king…..?  My joy is more important. People rejected the king’s invitation and chose their daily routine.

 

3. Refusal of daily life

There is similar story in today’s bible verse.  It’s serious.  It’s not just an invitation to a simple banquet, but the words of wrath and judgment are proclaimed. There is one thing to note here.  That God will judge world with water….. is this gospel? That it will destroy Sodom and Gomorrah with fire and sulfur….is this gospel?  Yes, the Word of God proclaimed in this world is the Gospel.  The gospel is not the word that fits me or benefits me. But rather, the word of the Creator God, our savior.  When we respond to the gospel with faith, we make the ark and escape to the city of Zoar.  The gospel of heaven is gospel in their lives. It was said that the gospel was proclaimed in the days of Noah and Lot in the Chumon. But the invitation of the gospel of Gods world was rejected from the daily life of the world. People eat, drink, buy, sell, marry, plant and build houses. The bible verse says:

               “Just as it was in the days of Noah, so also will it be in the days of the Son of Man.”  “People were eating, drinking, marrying and being given in marriage up to the day Noah entered the ark. Then the flood came and destroyed them all.”  “It was the same in the days of Lot, People were eating and drinking, buying and selling, planting and building.”  Luke 17: 26-28

Please see God’s remembrance of the days of Noah and Lot in the invitation of the King of Matthew 28 or in the text of Luke 17. The Bible does not say that they opposed God, preached other gods, or rebelled against the king. The Bible records, the memory of God, is why they rejected the gospel. It was their daily routine. It was more important for them to be busy than for the invitation of the gospel. Their daily routines interfere them from the gospel of God. 

 

4.  We are a church

Is this too serious topic for Christmas Eve? To make it less serious, I want to share this video, ‘Comedy Big League’ more popular show than Gag Concert.  In the show, there is a corner called ‘infiltration investigation’. In the corner, two detectives are set up to investigate various occupations in order to catch the criminal. It is easier to understand if you watch…

 

Can detective Choi and Lee fulfill their mission? Can they safely return after infiltration investigation? Can you and I finish our mission in this world and return safely to the kingdom of God? Mission in this world…..? Uh…what was it…I had a mission….?  Is this unforeseen?  Do you forget why we were sent to this world and what is our mission, like detectives Choi and Lee? Why did they forget the mission of criminal investigation and the duty of investigation? The first detective, detective Choi said, “I’m too busy~! It is so hard ~~!. The second detective, detective Lee, found running the restaurant was more interesting than capturing criminals. Church members! Why as Christians, do we turn away from the Gospel? Why is Christian life not joyful and hard? We are believers, but not live by faith? Why have faith but not begin the feast? Why receive the invitation but not agree with the pleasure and joy of the feast? Why do I lean towards marriage, buying cow, farming, and worry about how many things to do? Why, when the Lord comes again, the servant who has received a talent must be reproved and weep.  Why do we, Christians, live similar to detective Lee but work similar to detective Choi?

The largest church feast decided by the New Testament church are Christmas and Easter.  Why did God allow us to feast? It is to ‘Remember’.  God knows well how weak and unwise we are. Our busy lives conflict with the Gospel.  The problem is that we are not conscious of it. Even Satan makes our faithful daily life clash with the gospel.  What do you mean?   In our daily busy lives, many things are forgotten. Everyday life is impartial, but choices about life are related to value.   The value in us could reflect our choice. When we are tame by the necessities and joys of daily life without knowing…. We have seen God’s amazing history and have decided on the Exodus, saw the Red Sea split, and eat the manna everyday… It is like the Israelites in the wilderness to kill Moses. In everyday life, we are not open to God and are closed to our neighbors. Our bustling routines, the busy body and mind, are blocking the door that God has opened and closed the door to be open to our brothers and neighbors.

 

11years old, Lee EungDoo’s Christmas has past as mentioned. I was tired from all night caroling, overslept, and thought it was too late for an award, I put up a show. In result, I have embarrassing childhood life memory about Christmas that I will not forget. Unfortunately, I do not have memory of being joyful or thankful for Jesus being born. I was raised with many memories. Now, I have to think and worry. We are a church. I am a church member. The kingdom of God came to this world, and we live in this world. God says to enjoy the feast of the kingdom of God in our everyday lives. The feast has already begun.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성탄 감사 예배 - 예수를 만나다. na kim 2017.12.27 0 641
다음글 선교적 교회-3.'교회'는 '동사'(動詞)입니다. na kim 2017.12.17 0 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