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 예배

  • 홈 >
  • 예배와 말씀 >
  • 주일 예배
주일 예배
선교적 교회 - 32. 성도 보통씨의 갑과 을 na kim 2018-08-22
  • 추천 0
  • 댓글 0
  • 조회 622

http://chodaepa.onmam.com/bbs/bbsView/82/5466564

본 문 마태복음 20 20-28절 말씀

제 목 선교적 교회 - 32. 성도 보통씨의 갑과 을

 

2013년에 전북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을 가르치는 강준만 교수가 인상적인 책을 하나 펴냈습니다제목이 갑과 을의 나라였습니다제목만으로도 내용이 짐작되실 겁니다한국사회의 양극화가 심해지고사회 각 분야에서 다양한 권력을 소유한 사람들의 폭력적 관행들이 매일 보도되던 시점이었습니다그는 책에서 한국 사회에 뿌리 깊이 박힌 갑과 을의 관계개념이 어떻게 시작되고 계속되고 있는지를 설명합니다

 

In 2013, Professor Kang Jun-man, who teaches journalism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as published an impressive book. The title was 'Gap and Eul'. The title alone will make you guess what it’s about. The polarization of the Korean society was getting worse and the violent practices of people with various powers in each field of society were reported every day. In his book, he explains how the concept of relationship between 'Gap and Eul' is deeply rooted in Korean society.

 

 

그가 먼저 언급하는 것은 유교적 전통에 의한 관존민비’(官尊民卑)의식입니다관리를 높이 보고 백성을 낮추어 보는 전근대적 계급의식입니다소위 출세’(出世)한다는 말이 무엇입니까

 

The first thing he refers to is the "consciousness of the government" by the Confucian tradition. It is a premodern class consciousness that elevates people in government and lowers other people. What does it mean to be called "success"?

 

 

 

시험을 쳐서 관료가 된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백성을 섬기고 맡은 바 직임을 다하는 관료를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권력을 가지게 되고 백성 위에 군림하는 관료였습니다이것이 전근대적인 의식이라는 것을 다 알면서도 여전히 한국 사회는 이 의식에 젖어 있습니다그래서 몇 년 전에는 나향욱이라는 한 교육행정관료가 국민을 개와 돼지라고 표현해서 물의를 일으킨 적이 있고최근에는 법원행정처가 국민을 자신들만 아는 이기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법원의 이익을 위해 재판을 거래할 수 있다는 논리를 펴기도 했습니다

 

It was meant to become government agents by testing.   This does not mean that they will serve the people and fulfills their duties.  They abuse their power and reigned over the people. Even though we know that this is pre-modern method, Korean society is still in this mindset. So, a few years ago, an educational administrative called people as a "dog and pig" and caused a controversy. In recent years, the court administrators determined that people are selfish so they must judge in favor of government. 

 

그는 한국이 갑과 을의 사회가 된 또 하나의 이유를 강대국들의 끊임없는 위협과 침략 속에 살아온 한국의 역사에서 찾습니다침략과 수탈이 일상화되다보니 힘이 없으면 당할 수밖에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반대로 조금이라도 힘의 비교우위를 가지면 그것을 사용해도 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이러한 사회적 현상이 모든 국민의 내면에 깊이 뿌리내렸다고 말합니다갑과 을의 권력관계가 개인의 삶에서도 내면화되고 인격화되고 있다는 주장이었습니다.

 

He sees another reason why Korea became a society of 'Gap and Eul' because they lived in constant aggression and invasion by the great powers. When invasions are normalized, they assume that they are weak and powerless.  However, then they have some power, they tends to abuse them.

This social phenomenon is deeply rooted in all the people. It was argued that the power relationship between 'Gap and Eul' were internalized and personalized in individual lives as well.

 

 

1. 누가 갑누가 을?

 

저는 강준만 교수의 책 중에서 한국 사회에 갑과 을의 권력관계가 개인의 삶에서도 내면화되고 인격화되고 있다.”는 표현이 가슴 아팠습니다여러분은 동의하십니까

 

Among the books of Professor Kang Jun-man, I was saddened by the expression "power relations between 'Gap and Eul' are also internalized and personalized in individual lives." Do you agree?

 

 

그가 이 책을 쓸 2013년에도 이미 사회 곳곳에서 갑을관계에 대한 비판적인 논쟁들이 있었습니다그리고 2014년에는 대한항공 사주의 딸인 조현아’ 상무가 소위 땅콩 회항이라는 것을 합니다동생조현민은 얼마 전에 직원들에게 욕설을 하고 물을 뿌려서 비난을 받았습니다

 

In 2013, when he wrote this book, there were already critical debat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Gap and Eul'. And in 2014, the daughter of Korean Air's owner, Cho Hyun-a, had controversy called “peanut return”.  Her younger brother Cho Hyun-min has been criticized recently for spitting and watering his employees.

 

 

그들의 어머니는 더했더군요욕설과 폭력이 난무했습니다아시아나 항공은 젊은 스튜어디스들로 하여금 나이 많은 사장 앞에서 춤을 추게 하고 시중을 들게 하는 일도 있었습니다그런가하면 어느 아파트에서는 경비실에서 전기료가 많이 나간다는 이유로 에어컨을 틀지 못하게 하는 일도 있었고또 어느 고급 아파트에서는 택배 기사들에게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지 말라고 요구하기도 했습니다백화점 손님이 아르바이트를 하는 젊은 점원의 무릎을 꿇리는 일은 흔한 일이 되어 버렸습니다마치 한국 사회가 갑이라는 가면을 쓴 괴물들이 우글거리는 것처럼 보입니다.

 

Their mother was worse. Violence and violence were abundant. Asiana Airlines has also allowed young stewardesses to dance and perform in front of older bosses. In some apartments, there was a case where the air conditioner could not be used because of the electricity, and in some high-grade apartments, the delivery persons were asked not to use the elevator. It has become a common thing for a department store customer to make kneel down a young clerk. It seems as though the whole Korean society is filled with monsters who are wearing the masks of “Gap”. 

 

그런데 지난 7 15일 제가 읽은 기사의 제목이 재미있습니다‘’인줄 알았던 평범한 나도 누군가에겐 진상‘’ - 무슨 말일까요소위 갑질이라는 것이 특정한 어떤 사람들이 행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모든 사람에게 행할 수 있는 일이라는 겁니다권력적혹은 관계적 약자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또 다른 타인에게는 강자로 군림하고 불이익을 강요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겁니다.

 

However, the title of the article I read on July 15 is interesting. I thought that ''Eul '' is an ordinary person who I think is' truth '' - What is it mean?

The so-called "Gap" is not something certain people do, but that everyone can do to everyone. I thought it was a power or relativistic abbreviation, but it is that someone who can reign as a stronger and enforce a force to others.

 

 갑질이라는 말은 재벌’(chaebol)과 더불어서 갑질’(gapjil)로 그대로 영어 사전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The word 'GapJil' is used in the English dictionary as it is 'gapjil' with 'chaebol' (chaebol).

 

예를 들어 김치(kimchi), ’온돌‘(ondol), ’한글‘(hangul)처럼 세계인이 자신들의 말로 번역하지 않고 한국적인 개념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자랑스러운(?) 단어가 되었습니다

 

For example, 'Kimchi', 'ondol' (ondol), 'hangul' (hangul), such as the world people do not translate into their own words.

 

 

 

그 기사에 의하면 갑질은 자기 자신도 인지하지 못할 정도로 소소한 일상에서 반복됩니다한 여론조사기관에서 성인 3511명을 대상으로 갑질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습니다두 가지 결과가 나왔습니다첫째응답자 중 95%가 자신을 을로심지어 병 이하로 여기고 있었습니다자신이 갑질을 한 적이 있다고 고백한 응답자는 174명에 불과했습니다두 번째 그런데 대부분의 갑질 피해가 국민 대부분이 얽혀 있는 직장상사와 동료거래처제품 서비스 이용자와 공급자 관계 속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입니다.서로가 서로에게 상황을 따라 갑질을 하고 있다는 겁니다갑질을 했다고 고백하는 174명은 자신이 갑질을 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사람이지만다른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보다 비교 강자들에 의한 피해의식은 있는데 자신이 또 다른 비교 약자에게 행하는 갑질에 대해서는 무감각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앞에서 강준만 교수의 책의 결론이 무엇이라고 했습니까? “갑과 을의 권력관계가 개인의 삶에서도 내면화되고 인격화되고 있다.” 슬프고도 무서운 일입니다한국 사회와 국민들이 이라는 괴물에 희생당하면서도 자신의 내면에 스스로 이 되려는 작은 괴물을 키우고 있다는 말입니다.

 

According to the article, the Gapjil is repeated in a small routine so that it can not recognize itself. A poll agency surveyed 3511 adults for their perception of Gapjil. Two results came out. First, 95% of the respondents considered themselves to be not Gap but they are being bullied by Gap. 

There were only 174 respondents who confessed that they do Gapjil and bullies others. 

However, most of the damage is caused by bosses, colleagues, customers, product service users and suppliers who are engaged in the majority of the people. While 174 people who confess to having Gapjil are aware that they are doing Gap, most other people have a feeling of being bullied by Gap doesn’t realized that they are also bullies someone else with “Gapjil”. 

What was the conclusion of Professor Kang Jun-man's book?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who submit to power and use power is becoming internalized and personalized in individual lives." It is sad and scary. The Korean society and the people are being hurt by other’s Gap but they themselves are hurting others by growing their own Gap.

 

 

2. 갑이 되게 해주세요.

 

오늘 본문에서 제자들의 요청을 이런 관점에서 보시기 바랍니다그들의 요청은 아주 단순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예수님갑이 되게 해주세요나도 갑으로 살고 싶어요.”

 

In the main passage, it seems that the disciples are asking Jesus that they want to be also Gap.  They want to live as Gap. 

 

   

마태복은 20장의 상황은 이렇습니다예수님이 포도원 품꾼 비유를 말씀하십니다비유의 결론은 먼저 된 자가 나중 되고 나중 된 자가 먼저 된다는 것입니다왜 그렇습니까세상의 질서와 다른 하나님 나라의 질서가 임하기 때문입니다그리고 16절에서 예수님은 예루살렘을 향해 발걸음을 옮기십니다이제 십자가에 달리시기 전 한 주간을 그곳에서 보내실 것입니다예수님은 아주 비장하게 십자가에 대해 말씀하십니다.

 

This is the situation in Matthew Chapter 20. Jesus tells the parable of the vineyard. The conclusion of the parable is that the first one becomes last and the last one becomes first. Why? It is because order of the kingdom of God is different from the order of the world. And in verse 16 Jesus steps toward Jerusalem. He will now spend a week there before crossing. Jesus speaks about the cross "

 

 

 보라 우리가 예루살렘으로 올라가노니 인자가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에게 넘겨지매 그들이 죽이기로 결의하고 이방인들에게 넘겨 주어 그를 조롱하며 채찍질하며 십자가에 못 박게 할 것이나 제삼일에 살아나리라”( 20:18-19) 

 

18 “We are going up to Jerusalem, and the Son of Man will be delivered over to the chief priests and the teachers of the law. They will condemn him to death 19 and will hand him over to the Gentiles to be mocked and flogged and crucified. On the third day he will be raised to life!”

 

 

심각하지 않습니까이제 우리가 예루살렘으로 가는데 그곳이 나의 무덤이 될 것이라고 말씀합니다그때 예수님의 가장 많은 사랑을 받았던 제자 야고보와 요한의 어머니가 예수님께 나옵니다이야기를 들어보니 무엇인가 심각한 일이 일어날 것이고예수님은 이제 떠나신다고 하니... 확답 받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하나님의 나라가 임하고 예수님이 보좌에 앉으실 때에.... 우리 아들들.... 갈릴리에서 어부의 아들로 태어나 어부로 자라서 어부로 살아온 우리 아들들... 예수님이 아들들도 한번은 빛을 봐야하지 않겠습니까로마가 지배하고 유대의 율법이 다스리는 이 땅에서는 영광을 보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이 땅에서는 평생을 , ‘으로, ‘으로 살아왔지만... 우리가 믿고 따르는 예수님의 나라에서는 으로 한번 살아봐야 하지 않겠습니까우리의 아들들을 예수님의 보좌 좌우편에 갑으로 앉혀주시옵소서.... 24절에 보면 다른 모든 제자들이 이 말을 듣고 분노했다고 했습니다모두가 같은 마음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Is not it serious? Now, we go to Jerusalem and he say that it will be my grave. At that time, the the mother of disciples of James and John, the most loved of Jesus, came to Jesus. When she heard  something serious will happen, and Jesus says he will leave now. When the kingdom of God comes and Jesus is sitting on the throne .... her sons ... her sons born in Galilee, as fishermen.  Shouldn’t they be glorified over Rome?  we have lived in this land forever through life as 'Eul' or weaker people, Since we follow Jesus, please put our sons right and left of Jesus' throne. In verse 24, all the other disciples heard this and were angry. That's because everyone had the same thoughts. 

 

그런데 이 소원이 기도가 뭐가 잘못되었습니까오늘날 우리도 같은 소원으로 기도하지 않습니까머리가 될지언정 꼬리가 되지 말게 해달라고... 저희 할머니는 가정예배 때마다 손자들을 위해 기도하셨습니다오늘날 우리도 성공하게 해 달라고잘되게 해달라고높은 자리에서 내려다보게 해 달라고 기도하지 않습니까제자들의 소원과 기도는 잘못된 것입니까?

 

But this wish, what is wrong with this prayer? Do we not pray today with the same wish? My grandmother prayed for her grandchildren every time she worshiped at home. Do not you pray today that we will be successful, let it be, and let us look down from the high place? Are the wishes and prayers of the disciples wrong?

 

 

3. 예수님처럼 살 수 있을까?

 

예수님은 세베대의 두 아들과 어머니에게 어떻게 반응하실까요? 22절을 읽어봅시다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너희는 너희가 구하는 것을 알지 못하는도다 내가 마시려는 잔을 너희가 마실 수 있느냐 그들이 말하되 할 수 있나이다”( 20:22) 

 

How does Jesus respond to Zebedee's two sons and mothers? Let's read verse 22.

22 “You don’t know what you are asking,” Jesus said to them. “Can you drink the cup I am going to drink?”

“We can,” they answered.

 

먼저 예수님은 그들의 소원과 믿음이 맞지 않다고 말씀합니다그들이 믿는 것이 예수님이 허락하신 복음이라면 그들의 소원은 그 복음에 맞아야 하고같은 방향이어야 합니다그런데 제자들은 복음과 다른 방향의 소원을 열망하고 있습니다예수님이 그들에게 전하신 복음은 그들의 소원의 성취와 궤를 같이 하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이 지시는 십자가예수님이 마시는 잔과 궤를 같이 합니다예수님이 그들에게 물으십니다너희가 내가 마시는 잔을 마실 수 있겠느냐?” 여전히 그들은 예수님의 질문의 의도를 알지 못합니다용기있게 대답합니다할 수 있습니다만일 우리가 갑만 될 수 있다면그것도 이 세상이 아닌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에서 갑질을 할 수 있다면... 이땅에서 무엇을 못하겠습니까무엇이든지 다 할 수 있습니다.?” 

 

First, Jesus says that their wishes and beliefs are incompatible. If what they believe is the gospel that Jesus has given them, their wishes must fit into the gospel and be in the same direction. However, the disciples are eager for a desire for a different direction than the gospel. The gospel that Jesus preached to them is not the same as the fulfillment of their wishes, but the cross that Jesus instructs and the cup that Jesus drinks. Jesus asks them. "Can you drink the cup that I drink?" They still do not know the intent of Jesus' question and answers courageously. "Yes, we can. If we could be made as Gap, and we could become Gap in the kingdom of eternal God, we can do anything in this world?

 

여러분.... 제가 가끔 성도들에 대해서 궁금한 것이 바로 이것인데요... 오랫동안 한국교회가 잘못 가르쳐온 것이 있습니다상급이라는 개념입니다이 땅에서 마치 투자를 하듯이 하나님의 나라에서의 큰 영광을 보기 위해서 이 땅에서 헌신을 다짐하는 것입니다아닙니다제자들은 지금 그런 논리로 말하고 있는 것이구요예수님은 그렇게 해서는 안된다고 말씀하십니다예수님이 지는 십자가예수님이 마시는 고난의 잔은 천국에서 더 큰 영광을 얻기 위한 투자가 아닙니다예수님이 더 큰 영광을 위해 잠시 고난만 참으시면 된다고 생각하셨을까요아닙니다십자가는 예수님이 선택하신 삶입니다지난 주에 제가 하나님께는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공존한다고 했습니다시간을 초월하셨기 때문입니다하나님 나라의 영광과 보좌가 예수님을 표현하는 모습이라면 예수님이 지시는 십자가예수님이 마시는 고난의 잔 또한 예수님입니다만일 영원한 영광을 얻기 위해 잠시 선택하는 것이 십자가라면 십자가는 영광 이후에는 보잘 것 없는 고통의 상징에 불과합니다.

 

I have some question about everyone. There have been Korean churches that have long been taught wrongly. The concept of reward. It is like pledging commitment in this land to see the great glory in the kingdom of God just like it is investing in this early world. No. The disciples are now saying that, and Jesus says that they should not do that. The cross that Jesus carries, the cup of suffering Jesus is drinking, is not an investment to gain in heaven. Did he think that Jesus could endure suffering only for the sake of greater glory? No. The cross is Jesus' chosen life. Last week, I have told you that God coexist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f God’s kingdom is representing Glory of Jesus then the suffering of the Jesus is also representing Jesus. 

If Jesus sufferered and died on the cross just to go to heaven then Cross doesn’t mean after Jesus died and just represents the pain of death. 

 

 

그 잔을 마실 수 있다고 주장하는 그들에게 예수님께서 말씀하십니다. “너희들에게 갑이 되기 위해 이를 악물고 지금 을의 고난을 견디라는 말이 아니다그것은 이 세상의 논리가 아니더냐하나님의 나라는 갑들의 나라가 아니란다.”

 

Jesus tells them who told him that they can drink that glass. "I am not saying that you should endure suffering so that you can be Gap later.  Is that the mindset of the earthly world?  That is not the God’s Kingdom.

 

 

 

 

 

예수께서 제자들을 불러다가 이르시되 이방인의 집권자들이 그들을 임의로 주관하고 그 고관들이 그들에게 권세를 부리는 줄을 너희가 알거니와 너희 중에는 그렇지 않아야 하나니 너희 중에 누구든지 크고자 하는 자는 너희를 섬기는 자가 되고 너희 중에 누구든지 으뜸이 되고자 하는 자는 너희의 종이 되어야 하리라 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마 20:25-28)

 

25 Jesus called them together and said, “You know that the rulers of the Gentiles lord it over them, and their high officials exercise authority over them. 26 Not so with you. Instead, whoever wants to become great among you must be your servant, 27 and whoever wants to be first must be your slave— 28 just as the Son of Man did not come to be served, but to serve, and to give his life as a ransom for many.”

 

 

 

이 땅에서 섬기면 하나님의 나라에서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이 땅에서도하나님의 나라에서도 섬김의 자리종의 자리, ‘십자가의 자리가 성도와 교회의 자리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If we serve in this land, we do not get raised in the kingdom of God, but we should serve either in this land or in the kingdom of God.  That’s the place of congregation and churches. 

4. 내면의 질서

 

성도 여러분오늘의 말씀이 아마도 여러분의 생각에서의 동의와 삶에서의 충돌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예를 들어 예수 믿는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말반대로 우리의 신앙과 가장 격렬하게 충돌하는 말이 바로 겸손이라는 말 일 것입니다제 3자에게 적용시키지 좋고다른 사람에게 설명하기 좋고진심으로 좋은 개념이라고 동의하지만 내가 삶으로 실천하기는 참 어렵기 때문입니다왜 그럴까요세상의 질서와 하나님의 나라의 질서가 우리의 내면에서 충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제자들이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복음이 그들 안에 들어왔습니다복음은 하나님의 나라입니다하나님의 나라를 믿음으로 영접했습니다나의 내면이 하나님 나라의 가치로 질서가 잡혀야 합니다그런데 나는 지금 세상을 살고 있습니다세상은 내 마음과 눈과 귀를 유혹하고 시험합니다나를 불안하게 하고 분노하게 하고 욕망하게 합니다나는 낮아지기 보다는 높아지고 싶습니다겸손은 참 좋은 덕목이지만 내 삶의 원리가 되기에는 이 세상이 너무 험합니다겸손만 그런 것은 아닙니다십자가가 그러하고섬김이 그러하고예수님이 가르치신 8복이 그러하고그리고 하나님 나라의 복음이 그렇습니다참 좋은 것인데충분히 동의하고 고백하는데 내가 그렇게 살기는 어렵습니다우리의 내면은 두 질서가 충돌하는 전쟁터입니다제자들이 지금 내면의 충돌을 경험하고 있고우리들 또한 그렇습니다.

 

Everyone! I think that today's sermon probably clashes in your life. For example, the word that most believers in Jesus say, is the word 'humility'. It is good to apply, to explain it to others, and to accept it as a good concept, but it is very difficult for us to practice it in our lives. Why? It is because the order of the earthly world and the order of the kingdom of God are in conflict and also within ourselves. The disciples are showing this well. The gospel came into them. The gospel is the kingdom of God. We received the kingdom of God by faith. My inner side must be ordered by the value of the kingdom of God. But now I am living in this world. The world tempts and tests my heart, eyes, and ears. It makes me insecure, angry and desires. I want to be higher than lower. Humility is a good virtue, but the world is too harsh. It is not only humility. Also the cross, so is the service, and so is the blessing that Jesus taught, and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God. It is a good thing, but hard to live by them. Our inner world is a battlefield where two orders collide. The disciples are now experiencing inner conflict, and so are we.

 

성도 여러분은 갑이십니까을이십니까우리 교회에서 갑은 누구이고 을은 누구일까요아마 제가 장담컨대.... 지난 7월 15일 어느 언론에서 보도한 내용과 우리들의 생각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겁니다‘’인줄 알았던 평범한 나도 누군가에겐 ‘’ 기사에 크게 두 가지 내용이 있다고 했습니다

 

Are you a Gap? Are Eul? Who do you think Gap or Eul in our church?  I am sure .... I do not think our opinions will be very different from what we reported on July 15th in some media. I know that there are two kinds information in the article titled, “I thought I was Eul but I am Gap to someone else”.

 

 

첫째는 우리들은 대부분 자신을 연약한 을이라고 생각할 겁니다. ‘내가 갑질을...? 천만에 말씀... 이라고 생각할 겁니다하지만 둘째는 무엇이었습니까갑질은 대기업관료,부와 권력을 가진 사람들만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겁니다한 사회가 가진 가치관이 왜곡되었을 때 그것은 우리의 내면의 질서를 위협합니다신앙생활도 마찬가지입니다

 

First, most of us will think of ourselves as fragile “Eul”.  Why I can’t be Gapjil.  But what was the second? It's not just big companies, bureaucrats, who use wealth and power. When a society's values are distorted, it threatens our inner order. So is the life of faith.

 

 

 

제자들은 하나님의 나라에서 갑이 되기를 원했고지금은 서로 다투고 있습니다누가 더 많은 사랑을 받는 제자인지누가 더 높고 나은 제자인지를 끊임없이 싸웁니다우리가 흔히 듣는 이웃교회에서의 잘못된 관행들.... 목사가 이랬다더라장로가 이랬다더라권위적이고 폭력적인 방식으로 의사결정을 한다더라... 이웃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들의 일상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우리는 모두 자신을 을로 생각하면서 나에게 갑의 행위를 하는 교회와 성도들을 비판할 수 있지만... 실은 을인줄 알았던 내가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무한 갑의 행위를 반복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무서운 것은 내가 알지 못하는 사이내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심지어 나는 나를 을로 생각하고 내 행위를 정당화하면서 나는 무한 갑으로 신앙생활을 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좀 심각하게 생각하셔야 합니다.

 

The disciples wanted to be a Gap in the kingdom of God, and now they are fighting with each other. Whoever is more loving disciples, who are higher and better disciples. The wrong practices in the neighboring church that we often hear .... “The pastor said this”, “The elders said this” “they use an authoritative and violent way of making decisions” ... It might not be the problem of our neighbors but our inner problems.

We can all criticize the church and the others, thinking of ourselves as "Eul," but I may be repeating the act of Gapjil to someone else without realizing it.

You might justify and believing that you are faithful while using Gap to others.

You have to think seriously.

 

 

저는 지금 내면의 질서라는 말을 사용했습니다복음이 우리 안에 있습니다하나님의 나라가 우리 안에 있습니다나의 가치와 목적이 복음과 같은 질서에 있어야 합니다하나님의 나라의 질서와 같아야 합니다마 20:25-28의 말씀을 다 같이 다시 읽읍시다.

 

I used the word internal order now. The gospel is in us. The kingdom of God is in us. My values and purpose must be in the same order as the gospel. It must be like the order of the kingdom of God. Let's read again the words of Matthew 20: 25-28.

 

 

예수께서 제자들을 불러다가 이르시되 이방인의 집권자들이 그들을 임의로 주관하고 그 고관들이 그들에게 권세를 부리는 줄을 너희가 알거니와 너희 중에는 그렇지 않아야 하나니 너희 중에 누구든지 크고자 하는 자는 너희를 섬기는 자가 되고 너희 중에 누구든지 으뜸이 되고자 하는 자는 너희의 종이 되어야 하리라 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마 20:25-28)

 

25 Jesus called them together and said, “You know that the rulers of the Gentiles lord it over them, and their high officials exercise authority over them. 26 Not so with you. Instead, whoever wants to become great among you must be your servant, 27 and whoever wants to be first must be your slave— 28 just as the Son of Man did not come to be served, but to serve, and to give his life as a ransom for many.”

 

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 -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질문하셨고우리들에게 같은 질문을 하십니다내가 마시는 잔나의 내면의 질서내가 전한 복음대로 살 수 있겠는가모두가 먼저 을이 되고먼저 섬기는 자가 되고먼저 십자가를 지는 자리에 나갈 수 있겠는가갑이 되기 위해 을이 되는 것이 아니라을에 하나님의 마음과 뜻이 있음을 고백하고 주님과 함께 십자가를 지고 을의 자리에 기쁨으로 엎드릴 수 있겠는가우리는 삶으로 대답해야 합니다.

 

"For the Son of Man did not come to be served, but to serve, and to give his life as a ransom for many." - Jesus asked his disciples, and asked the same questions to us. Can live with the drink of my cup, my inner order, the gospel I preached? Can we put everyone first, become a servant first, and go first to the cross? Can we confess that there is God's heart and take the cross with Him and deliver it with joy in the Eul, instead of becoming a Gap? We must answer that with our lives.

 

 ​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위로부터 건축되는 교회 - 신철균 목사 na kim 2018.08.27 0 718
다음글 선교적 교회 - 31.성도 보통씨의 가치 na kim 2018.08.12 0 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