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 예배

  • 홈 >
  • 예배와 말씀 >
  • 주일 예배
주일 예배
선교적 교회-44.성도 보통씨의 교회(2) na kim 2018-11-27
  • 추천 0
  • 댓글 0
  • 조회 482

http://chodaepa.onmam.com/bbs/bbsView/82/5503914

 

2018. 11. 25,

 

* 본 문 : 고린도전서 919-23절 말씀

* 제 목 : 선교적 교회 - 44. 성도 보통씨의 교회(2) 

Missional Church -44. Fresh Expression of Church

1 Corinthians 9:19-23 New International Version (NIV)

 

한국의 장로회 신학대학의 한국일 교수는 지난 언론을 뜨겁게 달구었던 명성교회 사태를 보면서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렸습니다. 그는 교회의 부자 세습이라는 불명예를 안게 명성교회 사태에서 하나 긍정적인 면이 있다고 말합니다. 글의 일부분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The Korean professor at Korea Presbyterian Theological University wrote on his facebook while watching the fate of the Myeongseong church, which had heated up the media last year. He says there is only one positive aspect in the church situation, which dishonored of the church's rich heritage. Here is the part of the article as follows.

 

최근에 한국의 대형교회가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스스로 몰락의 길을 가면서 이런 형태의 교회가 참교회가 아니라는 사실을 세상에 고하면서 함께 무너져 간다. 이제 2000 교회 역사가 보여주는 것같이 새로운 교회 운동이 아래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아니 이미 시작되었다. 그동안 성장시대에 주변에 머물러 있어 관심밖에 있던 교회들을 주목해야 한다. 수십 동안 주변에서 세속주의와 맘모니즘과 정면으로 대결하며 교회를 세워온 그들의 운동이 한국교회를 일깨우며 희망이 것이다. 그들로부터 현재의 절망을 넘어 희망을 발견한다. 버릴 것은 철저하게 버리라. 절망에 머무는 시간조차도 아깝다. 주변으로부터 오는 희망이 한국교회가 나가야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Recently, a large church in Korea, in a similar way, goes down a path of its own downfall, and collapses while telling the world that this type of church is not a true church. Now, as church history in 2000 years of history shows, a new church movement should begin from below. No, it has already begun.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hurches that have not been received interests since it has been around in the growing age. For decades, their movement, which has confronted secularism and mammonism in the face of the surrounding churches, will awaken the Korean church and hope. I find hope from them beyond my current despair. Throw it away completely and thoroughly. Don’t even stay in despair. Hope from around will suggest directions for Korean churches to go. "

 

글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를 설명하면 가지로 요약됩니다. 첫째 대형교회 중심의 한국 교회 시대가 이제 저물었습니다. 이런 형태의 교회가 우리가 지향해야 교회가 아니라는 사실을 이번에 명성교회가 제대로 알리고 있다는 것이지요. 번째 새로운 교회에 대한 모색에 적극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In this article, I will summarize in a few ways. First, the age of the large Korean churches is in decline.  Myeongseong church is an example of the church that we should not aim for.  We have been actively initiated in the search for a second new church.

 

 

21세기, 2018년에 존재하는 이런 교회, 이런 예배가 1세기에도, 10세기에도 있었을까요? 미국의 한인 이민 사회 속에 존재하는 우리 교회가 아프리카나 아랍 문화권에도 같은 모습으로 존재할까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우리는 압니다. 그래서낯선 시도 대해 두려워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것이 우리의 신앙과 성경을 벗어나지 않는다면 우리는 새로운 시도를 통해서 시대에 맞는 교회를 만들어 가야 합니다.

 

This church, which exists in the 21st century and 2018, has this worship been in the 1st century or the 10th century? Does our church, which exists in the Korean American immigrant community in America, exist in the same way in the African and Arabic cultures? We know that it is not. So we should not be afraid to try 'different attempts'.  As long as it does not escape our faith and the Bible, we must create a new age-appropriate church through new attempts.

 

 

번째 절망과 희망의 공존입니다. 교회는 우리 시대에 절망에 해당되는 것을 아낌없이 버려야 하고, 희망에 해당되는 것을 과감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건물과 직분 중심의 교회는 버려야 절망이라면 성육신적 선교 - 복음을 전하고자 하는 성도와 교회가 먼저 복음이 되어야 하며 자신의 삶의 복지에 대한 관심보다 이웃의 삶의 고통에 대한 헌신이 있어야 한다는 선교개념 - 얻어야 희망입니다. 절망에 머무는 시간조차 아깝다는 말에 귀를 기울여야 합니다

 

The third is the coexistence of despair and hope. The church should give up the despair and boldly choose what is hopeful. Building and office-centered churches should be abandoned.  Missionaries and churches that want to preach the gospel must first be the gospel, and that they should have a commitment to help the suffering of their neighbors rather than their own welfare. You have to listen to the fact that you do not even have time for despair.

2018 11월의 마지막 주일입니다. 저희 교회는 매년 12월부터 회계연도를 시작합니다

그러므로 행정적으로 오늘이 2018년의 마지막 주일이라고 말할 있습니다. 지난 , 우리에게 은혜를 부어주시고 인도해주신 하나님께 감사드리면서 새로운 해를, 우리에게 허락하시는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고 헌신해야 하는지를 함께 고민하고자 합니다. 우리는 어떤 교회가 되기 위해 고민하고 몸부림쳐야 할까요

 

This is the last Sunday in November 2018. Our church starts its fiscal year from December every year.

Therefore, we can say that today is the last Sunday of 2018. In the past year, I thank God for praising and guiding us.  With new year, we want to think about how to use and devote the time that are allow to us.  We need think what kind of church should we become?

1. 교회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Newsnjoy라는 기독교 언론에서 지난 한국 교회를 설명하는 단어들로교회의 세습합법화’, ‘출석 성도 감소’, ‘가나안 교회 현상이라고 말했습니다. 사회적으로 지탄받는 일들을 교회가 합법화했고, 소득 휴일 증가와 교회에 대한 일반 사회의 인식변화에 따라서 성도가 감소되고 있으며, 예수는 믿지만 교회를 안나간다는 가나안 성도가 늘고 있다는 것입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가나안 성도는 2017 기준으로 지난 5년간 3배가 늘었다고 합니다.(국민일보 2017.12.29.)

 

In a Christian press, Newsnjoy said last year that the words describing the Korean church were legalization of the church's heredity, reduction of attendance, and the phenomenon of Canaanite churches. The Church has legalized socially disgusted things, the congregation are declining as the income and vacation increases, and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 of the Church changes, and the “Ga na an” Christians are growing, as Jesus believes, but does not go to church. For reference, the “Ga na an” have tripled over the past five years as of 2017 (Kookmin Ilbo Dec. 29, 2017).

 

그들을 가나안 성도라고 부르는지 아십니까? ‘안나가 거꾸로 읽은 겁니다. 안나가느냐? 질문에바빠서...’ 1, ‘교회와 목회자들의 비리 때문에 2, ‘교회의 배타성 때문에 3위입니다. 결과는 무엇입니까? 성도는 줄어들고 교회는 사라지고 있습니다. 한국의 대표적 교단 하나인 대한예수교 장로회 통합측에서 2010년과 지난 해를 비교할 14 여명의 성도가 줄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1000명이 출석하는 교회 140개가, 100명이 출석하는 교회 1400개가 없어졌다는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실은 이런 현상이 한국 교회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유럽 교회와 미국 교회는 이미 이러한 현상을 경험하고 있거나 지나고 있습니다

 

Do you know why they call it the “Ga na an”?  They read, “Not attending church” backwards.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y are you not going to chruch?"

Is the # 1 in the list, "Busy ...", # 2 because of the corruption of churches and pastors, and # 3 because of the church's exclusivity. What is the result? The congregation is shrinking and the church is disappearing. One of Korea's representative denominations, the Korean Presbyterian Association, reported that about churches lost about 140,000 people compared to 2010. There are 140 churches with 1,000 attendees and 1,400 churches with 100 attendees. In fact, this is not the problem of the Korean church alone. The European church and the American church are already experiencing this phenomenon.

 

저희가 살고 있는 필라델피아 근교의 한인 교회의 현실도 비슷합니다. 다행스럽고 감사하게도 지난 저희 교회는 많이 건강해지고 튼튼해졌습니다. 상반기에도, 하반기에도 좋은 성도들이 교회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주변 교회들의 이야기들을 들어보십시오. 성장하고 건강해졌다는 소식을 듣기가 힘듭니다. 이상 이민이 없고, 필라에는 젊은이들을 위한 좋은 직장이 없고, 그나마 있는 젊은 가정들은 시실과 교육이 좋은 교회로 간다고들 말합니다. 그런데 그렇지도 않습니다. 지난 필라를 대표한다는 교회들은 대부분 교회의 감소를 경험했습니다. 다들 힘들다고 말합니다. 무엇인가 지역사회의 영성과 교회성에 변화가 필요하고 새로운 출발이 필요합니다.

 

The reality of the Korean church in the suburbs of Philadelphia is similar. Thankfully, the past year, our church has become much healthier and stronger. In the first half and in the second half, good people came to the church. But listen to the stories of the surrounding churches. It is hard to hear that they have grown and become healthy. There are no immigrants anymore, they don’t have a good job for young people, and young families who are out of town say they are going to a big church with good education. But not necessarily. Last year, large churches experienced a decline in the church. Everybody says it's hard. Something in this community needs a change in spirituality and a new beginning is needed.

2. 절망에서 멈추고 희망에서 시작합니다

한국일 교수가 했던 말을 기억하시겠습니까? 교회의 현실이 안타깝기는 하지만 지금은 절망할 시간조차 아깝다고 했습니다. 사랑의 교회, 여의도 순복음교회, 명성교회를 보면서 절망하기 보다는 하나님께서 그런 교회들을 통해서 주시는 메시지를 바르게 읽고, 교회가 우리의 믿음과 교회가 지향해야 방향이 아님을 다시 한번 확인하면서 우리 시대에 하나님이 허락하시는 교회에 대한 고민과 모색, 그리고 하나님 나라를 향한 헌신을 시작해야 합니다. 교회의 현실에 대한 절망에서 멈추고, 복음이 주는 희망에서 새롭게 시작해야 합니다

 

Do you remember what the Korean professor said? The reality of the church is sad, but it is a waste of time to despair. Rather than despair, we should read the message that God gives through such churches, and once again confirm that the misdirected churches are not the direction we should focus on and our faith. We must search for the church that God allows, and our commitment to the kingdom of God. We must stop at the despair of church and start new in the hope of the gospel.

복음으로 시작하는 희망.... 어떤 것이 있을까요? 저는 지난 여러분께선교적 교회라는 제목으로 계속 말씀을 전했습니다. 실은 선교적 교회는 현대교회가 주는 절망을 넘어서서 복음으로 시작된 희망을 현실화하기 위한 모색에서 개념이 시작되었습니다. 교회의 몰락을 경험했던 영국 성공회 교회와 미국의 몇몇 교단들이 참여했습니다. 그들은 교회에 대한 복음의 부르심에 대해 고민하면서기존의 전통적 교회의 양식에 사람들을 적응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과의 관계가 형성되는 새로운 사회적 시간과 공간으로 교회가 들어가야 한다 말합니다.

Hope to start with the Gospel .... What is it? I continued to speak to you last year under the title 'Missionary Church'. In fact, the concept of the missionary church has begun in search of realizing the hope that started with the Gospel beyond the despair of the modern church. The Anglican Church and several American churches who had experienced the fall of the church participated. They are concerned about the call of the gospel to the church, saying, "It is not the adaptation of people to the traditional way of the church, but that the church must enter into a new social time and space in which relationships are formed."

 

 

오늘날 건물 중심의 기존 교회는 약화되고 있지만 의식있는 교회와 성도들의이웃과의 일상생활의 나눔목적 있는 기업’, 지역사회와의 새로운 관계를 통한 공동체성 형성등은 교회 역사에 새로운 경험이 되고 있습니다. 교회가 지역이나 문화권을 중심으로 주변 사람들을 끌어 모으는 방식은 이미 과거형입니다. 과거 한국의 산업이 급속히 성장하고 더불어 교회가 부흥할 열심히 전도하고 교회당을 짓고 예수 믿는 사람들을 양산하는 것은 좋은 일이었을 있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무엇입니까? 뉴스에서 말한 것처럼교회는 그리스로 이동해 철학이 되었고, 로마로 옮겨가서는 제도가 되었다. 유럽으로 가서는 문화가 되었고, 미국으로 가서는 기업이 되었다. 그리고 한국에 와서는 대기업이 되었다.”라는 비난을 받을 하게 되었습니다

 

Today, church-based existing churches are weakened, but the consciousness of the churches and the sharing of daily life with their neighbors', 'purposeful corporations', and forming a community through new relationships with the community' We are experiencing. The way the church attracts people around a region or culture is already a thing of the past. It may have been a good thing that the Korean industry grew rapidly, and when the church was revived, it would be a good thing to work hard, to build churches, and to produce people who believe in Jesus. But what is the result? As one news says, "The church moved to Greece and became a philosophy, and it became an institution by moving to Rome. When I went to Europe, I became a culture, and when I went to America, I became a company. And I came to Korea and became a big company. "

3. 교회에 대한 새로운 표현들

그렇다면 여러분은 오늘날의 교회를 어떻게 정의하시겠습니까? 철학입니까? 제도입니까? 문화입니까? 기업입니까? 그것도 아니면 건물이나 대기업 정도 됩니까? 최근 영국에서는 선교적 교회의 개념에서 단계 발전한교회에 대한 새로운 표현들’(Fresh expressions of church)라는 개념이 보고되었습니다. 현대 교회의 절망적 상황에서 오히려 희망을 발견하고자 하는 가장 최근의 시도이기 때문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시도는 가지 성경적인 원칙에 근거합니다

 

How do you define today's church? Is it philosopher? Is it a system? Is it culture? Is it a company? Is it a building or a big company? In recent years, the concept of "fresh expressions of church" has been reported in the United Kingdom, a step further from the concept of missionary church. It is worth noting that this is the most recent attempt to find hope in the desperate situation of the modern church. This attempt is based on two biblical principles.

 

첫째는 고전 3:6-9 말씀에 근거합니다. 바울은 복음의 씨를 심었습니다. 아볼로는 물을 줍니다. 하지만 키우시는 분은 하나님이십니다. 교회는 하나님의 마음과 손에 있습니다. 교회는 바울의 때에 바울이 필요했고, 아볼로의 때에 아볼로가 필요했습니다. 중요한 것은 바울이냐 아볼로냐에 있는 것이 아니라 복음이 전해지는 것입니다. 복음은 사람의 한계를 넘어서기 때문입니다. 교회는 제도와 전통을 시대와 상황에 따라 만듭니다. 하지만 그것이 복음은 아닙니다. 사람이 만든 전통과 제도를 넘어서는 하나님 나라의 복음에 순종해야 합니다.

The first is based on the words of 1Cor 3: 6-9. Paul planted the seed of the gospel. Apollo gives water. But the one who raises is God. The church is in the heart and hands of God. The church needed Paul at the time of Paul, and needed Apollos at the time of Apollos. The Gospel is beyond the limits of man. The church makes institutions and traditions according to the times and circumstances. But it is not the Gospel. We must obey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God beyond human traditions and institutions.

번째는 오늘의 본문의 말씀입니다. 사도 바울은 본문 고전 9:19-23에서 전통과 제도 속으로 들어갑니다. 종이 있고, 자유인이 있습니다. 유대인이 있고, 헬라인이 있습니다. 율법을 지킬 있고, 넘어설 있습니다. 사도 바울과 교회가 사람들이 살고 있는 세상 속에 들어갑니다. 그렇습니까? 바울은 중요한 단어들을 선택합니다. 하나는 구원이요, 다른 하나는 복음입니다. 복음으로 세상을 구원하는 사명을 감당하기 위해 그는 세상의 문화 속으로 들어가 문화의 옷을 입습니다

 

The second is the text of today's passage. The apostle Paul enters into the tradition and the doctrine in 1 Corinthians 9: 19-23. He can be a slave, and he can be free. He can be Jewish, and he can be Greek. He can keep the law and he can cross it. The apostle Paul and the church enter into the world where people live. Why? Paul chooses important words. One is salvation, and the other is the gospel. In order to fulfill his mission of saving the world with the Gospel, he enters the culture of the world and wears the clothes of culture.

교회에 대한 새로운 표현들은 가지 성경적 원리를 근거로 합니다. 하나는 현존하는 전통과 제도를 넘어서는 복음의 능력이요, 다른 하나는 복음을 전하기 위해 전통과 문화의 옷을 입고 세상 속으로 들어가는 순종입니다. 일을 가장 성공적으로 감당하신 분은 예수님이십니다. 세상에 내려오셔서 우리와 같이 되셨고, 유대의 율법과 전통을 넘어서는 복음을 전해주셨고, 십자가를 지셨습니다. 사도들과 교회가 예수님을 본받아서 세상의 가치와 질서를 넘어서는 복음을 들고 세상 속으로 들어가서 복음을 삶으로 증거했습니다.

New expressions of the Church are based on these two biblical principles. One is the power of the gospel beyond existing traditions and institutions, and the other is the obedience to enter the world in the clothes of tradition and culture to spread the gospel. Jesus is the most successful person in this. He came down to the world and became like us, preaching the gospel beyond Jewish law and tradition. The apostles and the church have imitated Jesus and went into the world with the gospel that transcends the values and order of the world and testified the gospel to life.

 

 

 2000 전에 사도들과 초대교회가 사명을 감당했고, 교회가 세워졌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2018 11 마지막 주일에 교회의 전통 가운데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맡기신 시대를 바라봅니다. 교회와 신앙은 새로운 시대와 새로운 환경에서 새롭게 고백되고 표현되어야 합니다

Two thousand years ago, the apostles and the early church had fulfilled its mission, and the church was built. And we look at the days God has entrusted us in the tradition of the Church on the last Sunday of November, 2018. Church and faith must be newly confess and express in a new age and new environment.

 

4. 담장 너머 교회 

지난 2017 1월에 제가 여러분께담장 너머, 교회라는 제목의 말씀을 전한 적이 있습니다. 담장을 넘는 가지의 축복은 야곱의 시대에 선포되었고, 예수님의 시대에 확증되었습니다. 야곱이 자랑스러운 아들 요셉을 축복합니다.

In January, 2017, I told you the title "Beyond the Fence, Church". The blessings of the branches beyond the fence were proclaimed in the days of Jacob, and were confirmed in the days of Jesus. Jacob blesses his proud son, Joseph.

요셉은 무성한 가지 곁의 무성한 가지라 가지가 담을 넘었도다”( 49:22)

22 “Joseph is a fruitful vine,
    a fruitful vine near a spring,
    whose branches climb over a wall.[a]

아마도 축복을 들은 요셉은 그저 무성한 가지처럼 복을 많이 받는 것으로 생각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야곱의 후손인 이스라엘 자손들이 수많은 담장에 갇혀서 살아갈 예수님은 담장을 넘어서는 가지의 영적인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혀주셨습니다. 예수님의 시대에 말씀은 요한복음 10장에서 이렇게 표현됩니다.

Perhaps Joseph, who heard this blessing, would have thought that he was just as blessed as a lush branch. But when the children of Israel, the descendants of Jacob, were trapped in a number of fences, Jesus revealed what the spiritual meaning of the branch beyond the fence was. In the days of Jesus, these words are expressed in John 10:

  우리에 들지 아니한 다른 양들이 내게 있어 내가 인도하여야 터이니 그들도 음성을 듣고 무리가 되어 목자에게 있으리라”( 10:16)

16 I have other sheep that are not of this sheep pen. I must bring them also. They too will listen to my voice, and there shall be one flock and one shepherd.

 

유대인들이 결코 무너지지 않을 것으로 생각했던 혈통의 담장이 메시야이신 예수님에게서부터 허물어지고 있었습니다. 우리에 들지 못했던 양은 바로 여러분이고 저입니다. 유대주의의 담장은 예수님으로부터 무너졌고, 무너진 담장은 오늘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길이 되었습니다.

The fence of the lineage, which the Jews thought never to fall, was falling from Jesus, the Messiah. It is you and me who have not been able to get into this. The wall of Judaism collapsed from Jesus, and the fallen fence was today the way we became children of God

오늘 말씀이 무겁고 어렵습니까? 괜찮습니다. 우리 교회는 이미 제가 전하는 말씀의 내용을 알고 있습니다. 저는 여러분과 교회가 감사하고 그리고 자랑스럽습니다. 우리 교회는 어느 교회보다도 우리가 사는 지역과 허락하신 시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습니다.

 

Is it a little heavy and difficult today? It’s ok. Our church already knows what I am trying to say. I am thankful and proud of you and church. Our church seriously worries about the area where we live and the time that we are allowed compared to other churches.

 

어떻게 지역이 가장 특성에 맞는 교회로 뿌리 내릴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우리가 사는 시대의 방향에 대해 고민하고 기도하고 있습니다. 지역과 시대를 넘어서는 복음을 믿고 전하고 있고, 복음에 지역과 시대의 옷을 입혀서 전하고 있습니다. 아직 약하고 어리지만 어느 교회보다 담장 멀리 가지를 뻗고 잎사귀로 그늘을 만들며 향기로운 꽃과 열매를 만들고 있습니다.

 

We are constantly praying about how the region will be rooted in the church that best suits its character and the direction in which we live. We believe in the gospel beyond the region and the times, and we spread the gospel in the surrounding area and the age. It is still weak and young, but we are far more reaching than any other church, has branches spread out, makes shade with leaves, and makes fragrant flowers and berries.

 

 

그리고 소원하기는 2019년에는 더욱 단순하고 선명한 목적의식으로 모이고 예배하고 흩어지고 선교할 있기를 바랍니다. ‘교회에 대한 새로운 표현들’(Fresh Expressions of Church)이라는 말에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우리 초대교회가 지역과 시대를 살면서 함께 기도하며 헌신하면서 우리 교회만의 새로운 표현을 만들어가는 공동체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걸음 걸음 함께 걸으면서.... 살아가는 일에 너무 급급해하지 않고, 혼자 잘되겠다고 욕심내지 않고, 내가 편하고 내가 칭찬받겠다 소원하지 않고, 예수 믿는다 하면서 땅에 얽매여서 허덕이지 않고, 함께 하나님의 자녀되었으므로 내가 먼저 섬기며 내가 먼저 헌신하며 내가 먼저, 우리 교회가 먼저 저기 낮은 곳에서 우리 주님의 십자가를 만나는 좋은 이름을 얻을 있기를 소원합니다.

 

I hope that in 2019, we can gather, worship, scatter, and worship in a simpler and with clearer sense of purpose. Please note the words 'Fresh Expressions of Church'. I hope that our early church will become a community that will make a new expression of our church while praying and devoting together in this era. I do not desire to be better alone, I am more comfortable and I do not wish to be praised, but I believe in Jesus, , I became a child of God, so that I may serve first and dedicate myself first, and I wish that our church may first obtain a good name, where we meet the cross of our Lord from a humble place.​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선교적 교회 - 45. 성도 보통씨의 교회 (3) na kim 2018.12.09 0 488
다음글 43.성도 보통씨의 교회: To be the Church na kim 2018.11.20 0 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