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 예배

  • 홈 >
  • 예배와 말씀 >
  • 주일 예배
주일 예배
선교적 교회 - 46. 성도 보통씨의 교회(4) na kim 2018-12-09
  • 추천 0
  • 댓글 0
  • 조회 534

http://chodaepa.onmam.com/bbs/bbsView/82/5508672

2018. 12. 9.

 

* 본 문 : 요한복음 13장 34-35절 말씀

* 제 목 : 선교적 교회 - 46. 성도 보통씨의 교회(4)

 

저의 외할아버지께서 손주들을 위해 해 주신 일이 참 많습니다. 어머님이 무남독녀 외동 딸이셔서 저희들 손주들을 많이 위해주셨습니다. 그 중에서 제게 주신 좋은 선물 중에 하나는 세계 문학 전집이었습니다. 외가댁에 가면 꽤 두꺼운 문학 전집이 벽장 한쪽을 메우고 있었습니다. 할아버지가 그 책을 좋아서 사셨을 리는 없구요, 저희들이 자주오고 또 좋아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사놓으셨다고 생각합니다. 중고등학교 때 방학 때면 바다가 보이는 2층 방에 배를 깔고 엎드려서, 혹은 벽에 기대고 누워서 대부분의 책들을 다 읽었습니다. 지금은 내용이 거의 기억나지 않지만 그 때 읽었던 느낌들은 살아 있습니다. 죄와 벌, 주홍글씨, 백경, 무기여 잘있거라, 서부전선 이상없다... 등등 제목들이 기억납니다. 그 중에서 어린 마음에 소설이 이렇게 사람을 분노하게 하고, 슬퍼하게 하고... 또 안타까운 마음을 들게 만드는구나... 라고 느낀 작품이 있었습니다. 심리묘사가 탁월했고, 상황을 감성적인 극단까지 몰고 가는 능력이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그 소설의 이름은 바로 폭풍의 언덕’(Wuthering Height)입니다.

 

이 작품은 배경을 알면 조금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습니다. 이 소설의 작가인 에밀리 브론테는 13녀 중 둘째입니다. 4남매는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첫째는 모두가 천재들입니다. 사진을 보시겠습니까?(사진1) 이 사진은 에밀리 브론테의 남동생인 브란웰이 그린 초상화입니다. 다소 굳은 표정으로 고동색 옷을 입은 여성이 샬롯 브론테입니다. ‘제인 에어라는 작품을 썼습니다. 이 소설 역시 영국 문학사의 계보를 잇는 유명한 소설가입니다. 중간이 에밀리 브론테입니다. ‘폭풍의 언덕을 썼습니다. 이 작품은 세익스피어 이후에 영어를 가장 아름답게 사용한 작품으로 평가 받습니다. 마지막 검은 색 옷을 입은 당돌한 표정의 여성이 앤 브론테입니다. 언니들만큼 유명하지는 않지만 그녀 또한 좋은 소설을 썼습니다. 그럼 남동생 브란웰 브론테는 어디로 갔을까요? 그는 딱히 미술을 배운 적이 없지만 대단한 예술가적 소양을 가진 청년이었습니다. 저기 보면 에밀리와 샬롯 사이에 지워진 무엇인가가 보이시지요? 바로 브란웰 자신입니다. 그는 스스로를 그림에서 지웠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그는 늘 우울증에 사로잡혀 있었고, 결국 20대에 마약 중독으로 죽습니다. 여기 그 형제들의 공통점이 또 있습니다. 모두가 우울했습니다. 작품들이 어둡고 심경이 복잡합니다. 독자들의 신경을 곤두서게 하고, 같은 심리로 흥분하고 슬퍼하며 분노하게 만듭니다. 작품들에서 그들의 우울이 독자들에게 전이됩니다. 그래서 세 번째 공통점은 더 슬픕니다. 브란웰 뿐만 아니라 세 자매가 모두 20대 말에, 혹은 갓 30이 되면서 모두 질병으로 죽습니다. 오늘은 천재적이었지만 불행했고, 목회자의 가정에서 태어나고 신앙으로 자랐지만 사랑과 관심에 목말라했던 한 가족과 그들의 삶이 형상화된 소설을 보면서 하나님의 말씀과 우리들의 삶을 조명해보려고 합니다.

 

1. 인생, 폭풍의 언덕

 

폭풍의 언덕이라는 바람 많이 부는 지역에서 부족함없이 살고 있던 캐서린의 가정에 히드클리프라는 이름의 한 소년이 들어옵니다. 부모에게 버림받고 혼자 크고 있는 아이였습니다. 캐서린의 아버지 언쇼는 이 아이에게서 어려서 죽은 자신의 아들의 모습을 발견합니다. 캐서린의 오빠인 힌들리는 자신이 받아야 할 사랑을 빼앗긴다고 생각해서 히드클리프를 미워하고 학대합니다. 아버지나 오빠나 히드클리프 모두 상처가 있고, 상처는 그들의 삶을 움직이는 동력입니다. 히드클리프는 그 집에서 유일하게 상처가 없는 캐서린과 사랑에 빠집니다. 하지만 그 사랑은 쉽지 않습니다. 히드클리프에게 있는 상처가 캐서린에게 자꾸만 드러납니다. 사랑하지만 괴롭히고 원하지만 밀어냅니다. 그런데 그 지역에서 가장 부자집 아들이면서 예의바른 청년 애드가가 캐서린에게 청혼을 했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바로 이 지점이 소설의 전환점이면서 가장 안타까운 장면인데요.... 캐서린이 자신의 유모에게 고민을 털어놓습니다. 사랑하지만 늘 자신에게 고통을 주는 히드클리프에 대해 원망하는 마음과 멋진 청년으로부터 사랑을 고백 받은 소녀의 들뜬 마음을 수다로 풀어냅니다. 그런데 바로 그 방 문 앞에서 히드클리프가 엿듣고 있었습니다. ‘그녀의 마음이 흔들리고 있구나.... 나보다 비교할 수 없는 조건과 성품을 가진 애드가에게 그녀를 빼앗겼구나....’ 그는 배신감과 분노에 집을 뛰쳐나갑니다. 그 사실을 모르는 캐서린은 계속 수다를 떱니다. “하지만 나는 히드클리프를 사랑해요... 나는 그 사람이 주는 고통마저 사랑해요. 그는 곧 나예요... 나는 애드가가 아닌 그와 결혼할 거예요....”그런데 그때 밖에서 무슨 소리가 들립니다. 폭풍우가 몰아치는 들판에 누군가가 집 주인인 언쇼의 말을 훔쳐서 떠나고 있었습니다. 캐서린의 말을 딱 반만을 들었던, 절망과 분노에 빠진 히드클리프는 그렇게 떠나고 말았습니다. (영상 1)

 

우리 인생도 그렇습니다, 각자가 바람이 부는 언덕 하나를 마음에 가지고 있습니다. 눈물의 이유가 되고 고통을 계속 생산하는 아픈 기억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해결될 수 있을까요? 대부분 우리는 그 상처를 안고 삽니다. 그 상처가 말하는 것을 듣고, 그 상처가 결정하는 대로 판단합니다. 그렇게 우리는 교회로 모이고 있습니다. 서로 대화합니다. 사로 사귑니다. 성도와 교회가 되어 사랑한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우리 마음 속에는 먼저 심겨진 것들이 있습니다. 마치 캐서린을 간절하게 사랑했던 히드클리프의 마음에 깊이 뿌리내린 차가운 상처가 있었고, 그 상처가 그들의 관계를 결정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더 슬픈 것이 있습니다. 내 마음에 이미 찬 바람이 쌩쌩 불다보니... 다른 사람의 말이 들리지 않습니다. 내 생각과 상처가 우선입니다. 서로 사랑하는 것이 교회인데.... 그 사랑이 잘 안됩니다. 사랑을 받을 수도 없고, 사랑을 할 수는 더더욱 없습니다. 우리가 한 지역에서 교회로 모이다보니 각 교회의 경험들이 섞일 때가 있지 않습니까? 이전 교회의 고통스런 기억이 오늘의 신앙과 교회적 관계를 지배하기도 합니다. 그것을 알면서도 바꾸려하지 않습니다. 지금 하는 이야기를 듣지 않고, 이전 내 경험이 나에게 말하는 결론만 반복해서 확인합니다. 그 결과는 무엇입니까?

 

2. 사랑에 실패하다.

 

실은 폭풍의 언덕이라는 소설은 에밀리 브론테가 자신의 가정의 이야기를 남녀간의 사랑 이야기로 풀어낸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녀의 아버지 패트릭 브론테는 성공회 신부, 즉 영국 국교회의 목사였습니다. 그런데 아내를 일찍 잃습니다. 우울에 빠집니다. 교회를 돌보는 일과 설교를 준비하고 책을 쓰는 일 외에는 아무 것도 하지 않습니다. 자신의 자녀들이 어떤 생각과 어떤 성장의 과정을 거치는지 무관심했습니다. 자녀들이 반짝반짝 빛나는 재능을 발휘할 때도, 그들의 재능이 참으로 우울하고 불행한 상상과 더불어 소설로 만들어질 때도, 아들이 약물과 질병으로 죽어갈 때도, 딸들이 결핵이 걸릴 정도로 영양이 부족하고 건강관리를 하지 못할 때도 아버지인 그는 자신의 슬픔에 집중했습니다. 둘째 딸 에밀리 브론테가 거실의 소파에서 쓸쓸히 죽던 날 아버지 패트릭 브론테 목사는 건너편 자신의 서재에서 설교를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아버지가 만든 찬바람 부는 광야에서 네 자녀들이 한 사람씩 마음이 병들고 육신이 병들어 죽어가는데... 아버지는 여전히 자신의 마음에 너무 깊이 뿌리박힌 찬바람의 언덕을 극복하지 못했습니다. 믿음이 있고, 지식도 있고, 교양도 있고, 무엇보다 목회자의 가정인데... 이렇게 서로에게 무관심하고 대화 없고 소통되지 않고 차가운 바람만 부는 얼음 언덕이 되어 서로를 밀어낼 수 있을까요? 이 가정은 충분히 그럴 수도 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에밀리 브론테는 폭풍의 언덕이라는 소설을 썼습니다. 폭풍의 언덕은 에밀리 브론테가 자란 동네이며 그녀의 가정이었습니다.

 

사랑하는 두 사람, 그가 주는 고통마저 사랑할 수 있고, 나와 그는 하나라고 말할만큼 사랑했던 두 사람.... 부자가 되고 가정을 이룬 다음에도 잊지 못해서 결국 모든 것을 파괴하고 그 영혼을 소유하려고 했던 두 사람.... 그렇게 사랑하는데 왜 그 사랑은 이뤄지지 않았을까요? 폭풍의 언덕은 그들의 마음에 있고, 관계에 있고, 말과 행동에 있고, 상상과 판단에도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들의 소통을 방해하는 요소들이 그들 안에 있습니다. 서로 사랑하되 진심을 말하지 않고, 서로 원하되 끝까지 듣지 않습니다.

 

오늘날 교회가 그렇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사랑으로 모였습니다. 사랑의 당위성에 대해 말합니다. 그 사랑과 은혜에 감격하고 눈물 흘립니다. 그런데 현대교회가 가장 못하는 것이 사랑입니다. 내가 믿고 구원을 얻고 예배하고 헌신하는 것은 좋은데....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하는 일이 잘 안됩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과 성령의 인도하심... 맞는 말인데.... 우리의 관계는 슬픕니다. 딸의 죽음이 벽 하나 너머에서 진행되고 있는데, 자신은 내일 설교를 준비하고 있었던 비정한 아버지처럼.... 함께 예배하는 성도들이 눈물과 고통을 삼키며 하나님의 도우심과 성도들의 사랑을 기다리고 있는데.... 우리는 믿음과 구원을 확신하며 예배하고 봉사합니다. 서로 사랑하는 일에 실패하는 신앙, 여러분... 이것은 가능한 일일까요?

3. 사랑이 교회됨을 증명합니다.

 

오늘 본문의 말씀에서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십자가를 지시기 전 중요한 당부의 말씀을 하십니다. 그들이 반드시 지켜야 하고 그들이 세울 교회가 스스로의 교회됨을 증명해야 하는 중요한 계명입니다. 새 계명을 너희에게 주노니 서로 사랑하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 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이로써 모든 사람이 너희가 내 제자인 줄 알리라”(13:34-35) 주님은 제자들과 교회에게 새로운 계명을 주십니다. 이 계명이 제자들과 우리들의 교회됨과 성도됨을 증명할 것입니다. 무엇입니까? 바로 사랑입니다.

 

그렇다면 왜 사랑이 우리의 교회됨을 증명하는 것일까요? 예수님은 사람의 사랑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이 보여주신 십자가의 사랑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사람의 사랑은 한계가 뚜렷합니다. 실패를 전제로 하는 사랑입니다. 가슴마다 바람 부는 언덕이 있고, 풍랑이는 바다가 있습니다. 우리를 두렵게 하고 분노하게 하고 근심하게 하고, 결국 사랑에 실패하도록 만드는 수많은 종류의 바람들이 우리의 마음과 삶에 숨어 있습니다. 우리 자신을 돌아보시기 바랍니다. 내 마음에 남은 분노와 용서하지 않음과 이해하지 않음과 관계의 포기와 체념과 단념들을 보십시오. 우리는 결국 사랑하는 일에 늘 실패합니다. 내가 더 이상 고통당하지 않기 위해 내 상처를 보호하고, 겹겹이 담을 두르고 숨어버립니다. 하나님만 믿으면 되지 뭐.... 사람은 원래 그런거야....라고 단념합니다. 그런데 성경은 무엇이라 말합니까? 예수님은 오늘 본문에서 너희가 서로를 사랑할 때 나의 제자인 줄을, 교회인 줄을.... 세상이 알고 교회가 알고 내가 알 것이라고 말씀합니다. 그 사랑은 사람의 사랑이 아닙니다. 사람의 사랑은 쉬워 보이지만 반드시 실패합니다. 우리 주님의 사랑은 어려워 보이지만 반드시 승리합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당부하시기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 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제자들과 교회는 예수님에게서 사랑을 시작합니다. 그들의 가슴에서 서늘하게 불어오는 상처의 바람이 아니라, 세상에서 칼바람으로 불어오는 상실과 고통의 바람이 아니라... 우리 주님이 허락하신 사랑으로 사랑할 때 비로소 교회는 교회가 되고, 성도는 성도가 되고, 우리는 모두 사랑할 수 있게 됩니다.

 

4. 이렇게 사랑합시다.

 

저는 오랜만에 폭풍의 언덕을 기억하고 영화도 다시 한번 보면서 이 소설을 처음 읽었을 때의 마음이 생각났습니다. 캐서린의 말을 딱 반만 듣고 자기 안에 있는 상처에 그 말들을 담아서 분노와 증오의 사람으로 변해버린 히드클리프를 보면서 참 어리석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가 사랑에 성공하는 사람이 되려고 했다면... 어떻게 했어야 할까요?

 

첫째는 좀 끝까지 듣지...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화가 나도, 힘들어도, 판을 뒤집고 싶어도... 사랑한다면 끝까지 그 사람의 말을 들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성도 여러분! 말하는 사람보다 듣는 사람이 이깁니다. 사랑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끝까지 들어야 합니다. 정말 화를 낼 일이 있다면 다 듣고 난 다음에도 충분합니다. 사랑에 성공하는 좋은 공동체가 되려면 듣는 귀와 마음이 많아야 합니다.

 

두 번째 그가 사랑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사랑 아닌 것을 버려야 합니다. 그의 마음에 각인된 차가운 바람 언덕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소설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랑하고 사랑 받기를 간절히 원하지만 사랑 아닌 다른 것이 집중했습니다. 사랑하고 싶은데.... 이미 먼저 그들의 삶에 뿌리내린 고통의 기억을 이길 수가 없었습니다. 여러분은 어떻습니까? 베드로 사도는 시험 가운데 있는 교회와 성도들에게 이렇게 부탁했습니다. 만물의 마지막이 가까이 왔으니 그러므로 너희는 정신을 차리고 근신하여 기도하라 무엇보다도 뜨겁게 서로 사랑할지니 사랑은 허다한 죄를 덮느니라”(벧전 4:7-8) 우리의 삶에 깊이 각인된 바람언덕을 이길 수 있는 것은 우리 주님의 사랑 외에는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폭풍의 언덕에 살았던 그들이 사랑에 성공하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이 있었습니다. 믿음이며 순종입니다. 저는 그들의 아버지였던 패트릭 브론테에 대해 딸들이 참 고민이 많았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아버지는 소설에서 캐서린의 아버지 언쇼로 형상화됩니다. 소설에서 언쇼는 여행을 갔다가 어려서 죽은, 그래서 늘 죄책감과 미안함과 그리움이 남아 있는 자신의 아들과 닮은 아이를 발견하고 자기 집으로 데려왔습니다. 그리고 불행이 시작되었습니다. 왜 그럴까요? 가난하고 버려진 아이를 데려와서 돌봐주는 것은 선한 일 아닌가요? 그의 선행의 내면의 동기는 믿음도 아니고 순종도 아니었습니다. 자신의 기억에 남은 아들에 대한 죄책감을 상쇄하는 도구에 불과했습니다. 그랬더니 자녀들에게 상처가 전이됩니다. 데려온 아이 히드클리프의 마음에 남았던 폭풍까지 모든 관계에 몰아치게 됩니다. 소설과 실제의 삶에서 가장 큰 문제를 가진 사람들은 바로 아버지들입니다. 믿음은 있지만 순종하지 않는 완고한 아버지들 말입니다. 자신에게 있는 상처를 인정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 말에 귀 기울이지도 않는... 자신의 뜻대로만 살아가려는 아버지들의 마음의 칼바람 언덕이 결국 자녀들의 삶을 폭풍 속에 쓰러지게 했습니다. 믿음이 있는지 점검해야 합니다. 순종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오늘 말씀 이미지를 폭풍과 바람으로 잡다보니 생각나는 장면이 있습니다. 제자들이 갈릴리 바다에서 풍랑을 만난 적이 있습니다. 예수님은 주무시고 제자들은 두려워했습니다. 경험으로 보나 지식으로 보나 두려워해야 할 사람은 예수님이요, 담대해야 할 사람들이 제자들이 아니었을까요? 너무 큰 바람과 파도에 배가 부숴질 지경이 되었습니다. 모두가 우왕좌왕 절망합니다. 그때 예수님이 바다와 바람을 잠잠케 하십니다. 제자들이 자신들의 스승인 예수님을 보면서 이렇게 고백했습니다. “그들이 심히 두려워하여 서로 말하되 그가 누구이기에 바람과 바다도 순종하는가 하였더라”(4:41) 우리의 마음에, 삶에 남은 모든 바람의 언덕들을 이기고 넘어서는 길은 믿음으로 순종하는 것 외에는 없습니다. 바람도, 바다도 순종하는데 교회이며 성도인 우리가 순종에서 멀리 떨어진 믿음을 주장하고 있는 것을 아닐까요? 우리 교회는 서로에게, 세상에게 칼바람 몰아치는 폭풍의 언덕일까요? 일렁이던 모든 파도와 바람을 주님 앞에서 내려놓고 허락하신 사랑으로 섬기는 교회와 성도들일까요? 우리는 오늘도 삶으로 대답하고 있습니다. 

 

There were many things my grandfather did for his grandchildren. My mother was his only child. He was very good to his grandchildren from his only child. One of the good gifts that he gave to me was 'The Complete Works of World Literature'. When I went to his house, thick books of literature filled one side of the wall on bookshelves. My grandfather did not want those books. I think he bought them with the hope that the grandchildren will come and love him for the books. When I was in high school, I laid down on a second floor room with a view of the ocean, leaned against a wall, and read most of the books. I can hardly remember the all contents now, but the feelings I had when I read those books are still alive. I remember some of the books were Sin and Punishment, Scarlet Letter, Moby Dick, A Farewell to Arms, All Quiet on the Western Front and so on. Among them, there was a work that felt like a novel in a young mind, making me so angry and sad. The psychological description was excellent, and I thought that the ability to drive the situation to an emotional stage was really great. The name of the novel is 'Wuthering Height'.

 

This work is more interesting if you know the background. Emilie Bronte, the writer of the novel, was the second of four siblings, three girls and a boy. These four siblings had something in common. First, they were all are geniuses. Would you like to see a picture? This is a portrait by Emily Bronte's younger brother, Brannell. Charlotte Bronte is a woman dressed in auburn with a rather hard look. She wrote a piece called 'Jane Eyre'. She is also a famous novelist who links the genealogy of English literature. In the middle is Emily Bronte. She wrote 'Wuthering Height'. This work is evaluated as the most beautiful work of English literature since Shakespeare. Anne Bronte is the last woman in a black outfit. She is not as famous as her sisters, but she also wrote a good novel. So where did his younger brother Brandwell Bronte go? He had never trained art but was a very talented artist. Do you see something erased between Emily and Charlotte? It is Brandel himself. He erased himself from the picture. Why? He was chronically depressed and died because of drug addiction in his twenties. This was another thing that the siblings had in common. They were all depressed. Their work are dark and complex. They make the readers nervous, excited, sad and angry at the same time. Their melancholy is transferred to the readers in their work. The third commonness is very sad. All three sisters, as well as Brandwell, die due to sickness in their twenties, or just 30. Today I am going to try to illuminate God's Word into our lives by looking at a family that was genius but unfortunate, born in a minister's home and raised by faith, but who had been thirsty for love and attention in their lives.

 

1. 인생, 폭풍의 언덕

 

A boy named 'Heathcliff' comes to Catherine's family who lived in a windy area called 'Wuthering Height.’ He was a child who was abandoned by his parents and alone. Catherine 's father, Mr. Earnshaw, saw his son who passed away as a child in Heathcliff. Catherine 's brother, Hindley, hates and abuses Heathcliff in the thought that Heathcliff was stealing the love from his father. The father, son, and Heathcliff all had painful memories from the past and those memories were the driving force of their lives. Heathcliff falls in love with Katherine, the only one who was whole in the house, but it was not easy. The wound he had from his painful past is exposed to Katherine. He loves Catherine, but harasses and pushes her away. Edgar, a courteous man who is the son of the wealthiest household of the region proposes to Catherine. What should Heathcliff do? This is the most unfortunate scene in the novel, and also a turning point. Catherine tells her nanny about her trouble. She confesses about Heathcliff who she loves but always gives her hard time. She also confesses about a wonderful young man, Edgar. When she was talking, Heathcliff was listening outside front of the door. He thought, 'Her heart is wondering, she has been taken by Edgar, who has incomparable conditions and character than I am.' He rushes out of anger and feeling of betrayal. Catherine, who does not know Heathcliff was listening, keeps on talking, "But I love him. I love the pain he gives me. He is me and I am him. I am going to marry him rather than Edgar.” "But then she hears something outside. Someone in the stormy field stole Mr. Earnshaw’s horse and ran away. He was so desperate and angry that he only had heard half of Katherine's words.

 

Our lives are the same, each one of us has a windy hill in his heart. We have painful memories that cause tears and continue to produce pain. Could it be resolved? Most of us live with the wound. We hear what the wounds say, and judge as the wounds decide. We have gathered in church. We talk to each other. We make fellowship. We say that we love other believers and the church. But the things planted in our hearts come first. It was as if there were cold wounds deeply rooted in the heart of Heathcliff, who longed for Katherine, and whose wounds determined their relationship. However, there is something worse here. We already have cold wind blowing in our heart. We cannot hear others. Our thoughts and wounds are our first priority. In  church, we love each other, but that love does not work well. We cannot be loved, we cannot even give love. When you attend different churches in an area, does not the experience of each church get mixed up? The painful memories of the old church dominate today 's faith and relationship in church. We know it, but we refuse to change it. We refuse to listen to what is going on currently, but repeat the conclusions that the previous experiences had given us. What is the result?

 

2. 사랑에 실패하다.

 

In fact, the novel 'Wuthering Height' can be seen as Emily Bronte's story of her family as a love story between men and women. Her father, Patrick Bronte, was an Anglican priest, a minister of the Anglican Church. He lost his wife early. He fell into depression. He didn’t do anything but caring for the church, preparing for sermons and writing books. He was indifferent to what kind of thoughts and growth his children were going through. Even when his children showed their glittering talents, even when their talents were put into literature with a truly depressing and unfortunate imagination, even when his son died from drug and diseases, even when his daughters were malnutrition, during all those times, Patrick Bronte only focused on his own sorrow. The day her second daughter, Emily Bronte, died on the couch in the living room, her father, Patrick Bronte, was preparing to preach in his office across the room. When all of his children were dying in the cold, windy family of theirs, the father could not overcome the cold wind that was blowing deeply within his heart. He was faithful, knowledgeable, educated, and above all, a minister. Even with such qualities, can a family be indifferent to each other, has no communication, and become a cold windy hill that pushes each other away? This assumption says that it may be enough. Emily Bronte wrote a novel called Wuthering Height. Wuthering Height, a place on a hill where cold windy storm comes, was the home of Emily Bronte.

 

Two people who loved each other, even all the pains each had, destroyed everything. If they loved each other, how come the love did not come true? The stormy hills were in their minds, relationships, words actions, imagination and judgment. There were elements in them that interfered with their communication. They loved one another but did not speak their sincere heart. They wanted one another, but did not listen until the end.

 

Today’s church is like that. We gathered in the love of the cross of Jesus Christ. It speaks about the justification of love. I am thrilled with love and grace. But what the modern church does not show best is love. It is good to believe, to be saved, to worship and to devote. However, people think that they cannot work with others. They know that they should follow the love of Jesus Christ and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Still, our relationship is broken. The daughter was dying just across the room, but the father was only preparing for his sermon. The believers who worship together swallow tears and torments and are waiting for the help of God and the love of the believers. We are confident in our faith and salvation, worship and service. A faith that fails to love one another, is this possible?

 

3. 사랑이 교회됨을 증명합니다.

 

In today's passage, Jesus speaks to the disciples before he is crucified. It is an important commandment that they must observe and that the church they will establish will prove to be church by this. “A new command I give you: Love one another. As I have loved you, so you must love one another. By this everyone will know that you are my disciples, if you love one another.” (John 13: 34-35) This is also a new commandment to the church. This commandment will prove that the church and believers to be the church and believers. That commandment is love.

 

So how does love prove that we are church? Jesus is not talking about man's love but the love of the cross that Jesus showed. The limits of human love are clear. It is love based on failure. There is a windy hill on every chest, and there is a sea with a storm. There are many kinds of winds that hide in our hearts and lives that make us afraid, angry and grieved. They eventually make us fail in love. Please look into ourselves. Look at the anger left in our heart: the forgiveness, the inexperience, the relinquishment, the resignation, the despair. We always end up failing in what we love. We protect our wounds and hide them in layers to prevent us from suffering anymore. We just want to believe in God. But what does the Bible say? Jesus says in today’s text that when we love one another, we are his disciples, that we are a church. We all know that love is not human’s love. Human's love seems easy, but it surely fails. Our Lord's love seems difficult, but it surely wins. Jesus said to his disciples, "Just as I loved you, you also love one another!" The disciples and the church begin to love like Jesus did. The church becomes a church, the believers become believers. We can all love.

 

4. 이렇게 사랑합시다.

 

I remembered 'Wuthering Height' and watched the movie again. It reminded me of the first time I read this book. I thought Heathcliff was stupid, who only heard half of Katharine's words and turned into rage and hatred. If he wanted to be with Catherine, what should he have done?

 

First, I wish he had listened until the end, even if he was angry, even if it was difficult to hear, even if he wanted to beat Edgar. If he loved Catherine, He should have listened until the end. The person who listens is better than the person who speaks. To succeed in love, we must listen to the end. To be a good community and succeed in love, we must have a lot of ear and heart to listen to.

 

Second, in order for him to succeed in love, he has to throw away what is not love. The book is a story about a cold windy hill imprinted in his heart. Most people in the novel are eager to love and be loved, but they focus on something other than love. They want to love, but they could not overcome the memory of the pain rooted in their lives. How about you? The Apostle Peter asked the church and believers, "The end of all things is at hand; therefore, prepare yourself to be wise, and pray in prudence. First and foremost, love one another. Love covers many sins" (1 Peter 4: 7-8). There is no other than our Lord's love that can win.

 

Lastly, there are something those who live on stormy hill need in order to succeed in love: faith and obedience. I think the daughters were very angry with their father, Patrick Bronte. He is depicted in the novel as Katherine's father, Mr. Earnshaw. In the book, Earnshaw went on a trip and found a child who resembled his son, who died as a child. Earnshaw was always guilty, sorry and longing. This is when the unhappiness began. Why was this so? Is it not good to bring a poor and abandoned child and take care of him? The inner motive of his good work was neither faith nor obedience. It was merely a tool to offset the guilt of the dead son who remained in his memory. Then the wound spread to his children. He brought all of his relationships to the storm. The fathers are the greatest conflicts in both the novel and real life. Stubborn fathers who have faith but do not obey. Fathers who do not acknowledge their own hurt and do not listen to others. Living according to their own will eventually led to the collapse of their lives in the storm. We need to check if we have faith. Make sure you are obedient.

 

There is a scene I remember when I think about the image of stormy windy hill. The disciples have met a storm in the Sea of ​​Galilee. Jesus was sleeping and the disciples were afraid. According to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Jesus was the one who should have been afraid. The disciples who were fisherman should have been bold. The winds and waves were so big that the ship was broken. Everyone was desperate. Then Jesus calms the sea and the wind. The disciples confessed that they saw Jesus as their teacher. "They were terrified, and said one to another, ‘Who is he, that the wind and the sea obey?’" (Mark 4:41) In our hearts, there is no way to overcome the cold windy hills remaining in life except by faith.​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선교적 교회- 47. 성도 보통씨와 베드로 na kim 2018.12.17 0 478
다음글 선교적 교회 - 45. 성도 보통씨의 교회 (3) na kim 2018.12.09 0 486